KOSSDA Loading

한국행정연구원18012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은 국가행정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1991년 설립된 국무총리실 산하 연구기관입니다. 행정체제의 발전과 행정제도 및 그 운영의 개선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행정에 관련된 정보 및 자료를 수집, 관리, 지원하며,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교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가승인통계인 <사회통합실태조사>, <공직생활실태조사> 등 국정운영과 관련한 행정 및 정책에 대한 다양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여 증거에 기반한 정책수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8,012건 중 7,101-7,120 (소요 시간: 0.011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a0703

행정기능 분야별 부정부패 정도3: 소방

문11-1.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능분야별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03) 소방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913

직업유형별 부정부패 정도3: 행정

문13-1. 귀하는 다음과 같은 직업분야별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공직분야 : 1-3. 행 정(법의 집행)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813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3: 광역자치단체

문12-1.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광역자치단체(시ㆍ도 본청)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503

공직부패 해소방안3: 선처와 특혜를 바라는 시민들의 의식개선

문16. 다음은 공직부패의 해소방안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해소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03) 선처와 특혜를 바라는 시민들의 의식 개선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03

공직자의 업무처리 및 적절성 평가3: 공무원들이 지위를 이용하여 부당한 알선청탁을 하거나 압력을 행사한다

문20. 귀하는 공직자와의 업무처리과정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공무원들이 지위를 이용하여 부당한 알선청탁을 하거나 압력을 행사한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193

김영란법 시행 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한 변화3: 공직자의 경조사에 내던 축의금 혹은 부의금의 횟수나 금액이 줄어들었다

문19. 2016년 9월 28일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공직자의 경조사에 내던 축의금 혹은 부의금의 횟수나 금액이 줄어들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3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3: 공직자 윤리교육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공직자 윤리교육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13

업무처리시 투명성과 책임성 평가3: 공직자가 기한을 준수하고 설명을 충분히 하는 등 업무를 적극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노력한다

문21. 귀하는 업무처리과정에서 공직자의 투명성 및 책임성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공직자가 기한을 준수하고 설명을 충분히 하는 등 업무를 적극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노력한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4202

기관 및 단체 신뢰도2: 지방자치단체

문23-1. 귀하는 다음 기관들을 어느 정도 신뢰하십니까? 02) 지방자치단체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4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4: 부패통제기관의 감사제도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4) 부패통제기관(권익위, 감사원, 검찰, 경찰 등)의 감사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4203

기관 및 단체 신뢰도3: 국회

문23-1. 귀하는 다음 기관들을 어느 정도 신뢰하십니까? 03) 국 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14

업무처리시 투명성과 책임성 평가4: 공직자가 업무처리 시 직무상 권한을 남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문21. 귀하는 업무처리과정에서 공직자의 투명성 및 책임성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공직자가 업무처리시 직무상 권한을 남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04

공직자의 업무처리 및 적절성 평가4: 공무원들이 주요정책이나 사업관련 정보를 불투명하게 공개한다

문20. 귀하는 공직자와의 업무처리과정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공무원들이 주요정책이나 사업관련 정보를 불투명하게 공개한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194

김영란법 시행 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한 변화4: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청탁이나 요청 등이 줄어들었다

문19. 2016년 9월 28일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4)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청탁이나 요청 등이 줄어들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504

공직부패 해소방안4: 지연, 학연 등 사적인 관계의 작용 축소

문16. 다음은 공직부패의 해소방안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해소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04) 지연 및 학연 등 사적인 관계의 작용 축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emp

종업원수 (상시근로자수)

상시근로자수 ※ 상시근로자수는 정규직/계약직을 포함한 Full Time 근로자 기준으로 작성해 주십시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704

행정기능 분야별 부정부패 정도4: 법조

문11-1.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능분야별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04) 법조(법원, 검찰)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0512

부정부패로 인한 사회문제가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이유2

문5-1. (문5. 4)~6)응답자만) 금품/향응/편의 등을 수수하는 부패 행위가 심각하다고 생각하시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자유롭게 응답하여 주십시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814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4: 기초자치단체

문12-1.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기초자치단체(시ㆍ군ㆍ구)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32

(공무원에게 제공한 경우) 금품 등 제공규모

문2-2. 귀하는 위에서 응답한 행정분야에 지난 1년간 제공한 금품/향응/편의 등의 규모는 어느 정도 입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