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0703
행정기능 분야별 부정부패 정도3: 소방
문11-1.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능분야별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03) 소방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913
직업유형별 부정부패 정도3: 행정
문13-1. 귀하는 다음과 같은 직업분야별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공직분야 : 1-3. 행 정(법의 집행)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813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3: 광역자치단체
문12-1.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광역자치단체(시ㆍ도 본청)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503
공직부패 해소방안3: 선처와 특혜를 바라는 시민들의 의식개선
문16. 다음은 공직부패의 해소방안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해소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03) 선처와 특혜를 바라는 시민들의 의식 개선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03
공직자의 업무처리 및 적절성 평가3: 공무원들이 지위를 이용하여 부당한 알선청탁을 하거나 압력을 행사한다
문20. 귀하는 공직자와의 업무처리과정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공무원들이 지위를 이용하여 부당한 알선청탁을 하거나 압력을 행사한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193
김영란법 시행 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한 변화3: 공직자의 경조사에 내던 축의금 혹은 부의금의 횟수나 금액이 줄어들었다
문19. 2016년 9월 28일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공직자의 경조사에 내던 축의금 혹은 부의금의 횟수나 금액이 줄어들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3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3: 공직자 윤리교육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3) 공직자 윤리교육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13
업무처리시 투명성과 책임성 평가3: 공직자가 기한을 준수하고 설명을 충분히 하는 등 업무를 적극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노력한다
문21. 귀하는 업무처리과정에서 공직자의 투명성 및 책임성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공직자가 기한을 준수하고 설명을 충분히 하는 등 업무를 적극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노력한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4202
기관 및 단체 신뢰도2: 지방자치단체
문23-1. 귀하는 다음 기관들을 어느 정도 신뢰하십니까?
02) 지방자치단체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4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4: 부패통제기관의 감사제도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4) 부패통제기관(권익위, 감사원, 검찰, 경찰 등)의 감사제도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4203
기관 및 단체 신뢰도3: 국회
문23-1. 귀하는 다음 기관들을 어느 정도 신뢰하십니까?
03) 국 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14
업무처리시 투명성과 책임성 평가4: 공직자가 업무처리 시 직무상 권한을 남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문21. 귀하는 업무처리과정에서 공직자의 투명성 및 책임성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공직자가 업무처리시 직무상 권한을 남용하는 경우가 드물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04
공직자의 업무처리 및 적절성 평가4: 공무원들이 주요정책이나 사업관련 정보를 불투명하게 공개한다
문20. 귀하는 공직자와의 업무처리과정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 공무원들이 주요정책이나 사업관련 정보를 불투명하게 공개한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194
김영란법 시행 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한 변화4: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청탁이나 요청 등이 줄어들었다
문19. 2016년 9월 28일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4) 공직자를 대상으로 한 청탁이나 요청 등이 줄어들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504
공직부패 해소방안4: 지연, 학연 등 사적인 관계의 작용 축소
문16. 다음은 공직부패의 해소방안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해소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04) 지연 및 학연 등 사적인 관계의 작용 축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emp
종업원수 (상시근로자수)
상시근로자수
※ 상시근로자수는 정규직/계약직을 포함한 Full Time 근로자 기준으로 작성해 주십시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704
행정기능 분야별 부정부패 정도4: 법조
문11-1.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능분야별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04) 법조(법원, 검찰)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0512
부정부패로 인한 사회문제가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이유2
문5-1. (문5. 4)~6)응답자만) 금품/향응/편의 등을 수수하는 부패 행위가 심각하다고 생각하시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자유롭게 응답하여 주십시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814
행정계층 기관별 부정부패 정도4: 기초자치단체
문12-1.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관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기초자치단체(시ㆍ군ㆍ구)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32
(공무원에게 제공한 경우) 금품 등 제공규모
문2-2. 귀하는 위에서 응답한 행정분야에 지난 1년간 제공한 금품/향응/편의 등의 규모는 어느 정도 입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