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0611
부정부패 만연정도1: 공공부문
문10. 귀하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공공부문(행정기관)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701
행정기능 분야별 부정부패 정도1: 세무
문11-1. 귀하는 다음과 같은 행정기능분야별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01) 세무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type
기업유형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sex
응답자 성별
DQ1. 귀하의 성별은?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b01
지난 1년간 공무원 접촉 경험
문1. 귀하는 지난 1년간 개인적 혹은 업무상(회사관련 업무) 공무원을 접촉한 적이 있습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911
직업유형별 부정부패 정도1: 입법
문13-1. 귀하는 다음과 같은 직업분야별 부정부패가 어느 정도 심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공직분야 : 1-1. 입 법(법의 제정)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01
공무원들에게 금품 제공이 행해지는 정도
문4. 귀하는 우리사회에서 민원인들이 업무처리시 공무원들에게 금품/향응/편의 등을 제공하는 행위가 어느 정도 보편화되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11
업무처리시 투명성과 책임성 평가1: 업무처리 기준 및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한다
문21. 귀하는 업무처리과정에서 공직자의 투명성 및 책임성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업무처리 기준 및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한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4
현 정부 신뢰도
문23. 귀하는 우리나라 정부를 어느 정도 신뢰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01
공직자의 업무처리 및 적절성 평가1: 공무원들이 업무처리와 관련하여 특정인에게 특혜를 준다
문20. 귀하는 공직자와의 업무처리과정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공무원들이 업무처리와 관련하여 특정인에게 특혜를 준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2
정부규제가 많다는 일반 여론에 대한 견해
문22. 귀하는 정부의 인허가 등에서 정부규제가 많다는 의견에 대해 어느 정도 동의하십니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181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1: 청탁금지법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청탁금지법 (일명 “김영란법”)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501
공직부패 해소방안1: 업무처리상 관행 타파
문16. 다음은 공직부패의 해소방안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해소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01) 떡값, 촌지 등 업무처리상의 관행 타파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191
김영란법 시행 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한 변화1: 공직자와 함께하는 식사자리에서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나 금액 등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다
문19. 2016년 9월 28일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 공직자와 함께하는 식사자리에서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이나 금액 등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c192
김영란법 시행 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한 변화2: 공직자를 상대로 명절이나 기념일에 제공하던 선물이나 접대 등이 줄어들었다
문19. 2016년 9월 28일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이후 기업활동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변화가 얼마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 공직자를 상대로 명절이나 기념일에 제공하던 선물이나 접대 등이 줄어들었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72
각 제도의 공직부패 예방 가능성2: 공직자윤리법
문18. 귀하는 우리사회의 공직부패를 척결 및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수행하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얼마나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2) 공직자재산등록제도 등 공직자윤리법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4201
기관 및 단체 신뢰도1: 중앙정부부처
문23-1. 귀하는 다음 기관들을 어느 정도 신뢰하십니까?
01) 중앙정부부처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12
업무처리시 투명성과 책임성 평가2: 업무처리 기준 및 절차를 준수한다
문21. 귀하는 업무처리과정에서 공직자의 투명성 및 책임성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업무처리 기준 및 절차를 준수한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1502
공직부패 해소방안2: 사회전반 부조리풍토 개선
문16. 다음은 공직부패의 해소방안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귀하는 다음 각각의 항목이 공직부패를 해소하는데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십니까?
02) 사회전반의 부조리 풍토 개선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
a202
공직자의 업무처리 및 적절성 평가2: 공무원들이 불필요한 사업을 추진하거나 예산을 낭비한다
문20. 귀하는 공직자와의 업무처리과정에 관한 다음 각각의 항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 공무원들이 불필요한 사업을 추진하거나 예산을 낭비한다
공직부패의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