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한국행정연구원18012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은 국가행정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1991년 설립된 국무총리실 산하 연구기관입니다. 행정체제의 발전과 행정제도 및 그 운영의 개선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행정에 관련된 정보 및 자료를 수집, 관리, 지원하며,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교류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가승인통계인 <사회통합실태조사>, <공직생활실태조사> 등 국정운영과 관련한 행정 및 정책에 대한 다양한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여 증거에 기반한 정책수립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8,012건 중 3,001-3,020 (소요 시간: 0.018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A1

문재인정부의 정책방향에 대한 만족도

1. 선생님께서는 새 정부(문재인 정부)의 정책방향에 대해서 만족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DQ1

응답자 성별

1. 성별은 어떻게 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3_1_1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1: 충실성 - 정책의 필요성

3.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내용’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정책의 충실설(1) 정책의 필요성(유용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4_1_1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1: 정책수행능력 - 정책담당기관의 일관성

4.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집행자(집행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정책수행능력(1) 정책담당기관의 일관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ID

응답자 아이디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B5

인간관계에 대한 일반적 신뢰 수준

5. 선생님께서는 일반적으로 인간관계에서 사람들을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5_1_1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1: 피규제경험 - 기존 시행된 정책의 부정적 영향

5.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대상자(수용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피규제경험(규제를 받은 경험)(1) 기존 시행된 정책의 부정적 영향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6_1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3: 언론보도의 영향 - 관련 이슈에 대한 언론 보도 경향

6.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환경’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언론보도의 영향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7_1_1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1: 규제 및 경제적 보상 - 처벌, 벌과금 등 규제

7.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수단’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규제 및 경제적 보상(1) 처벌, 벌과금 등 규제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6_1

공론화 원칙 중요도1: 실행가능성 - 도출된 결론의 이행가능성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6) 실행가능성(1) 도출된 결론의 이행(실행)가능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5_1

공론화 원칙 중요도1: 신뢰성 - 정부에 대한 신뢰도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5) 신뢰성(1) 정부에 대한 신뢰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4_1

공론화 원칙 중요도1: 숙의성 - 충분한 학습과 진지한 토론의 정도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4) 숙의성(1) 충분한 학습과 진지한 토론의 정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3_1

공론화 원칙 중요도1: 독립성 - 독립 전담기구 및 위원회 존재 여부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3) 독립성(1) 독립된 전담기구 또는 위원회의 존재 여부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2_1

공론화 원칙 중요도1: 민주성 - 공론화 절차의 공정성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민주성(1) 공론화 절차의 공정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1_1

공론화 원칙 중요도1: 투명성 - 투명한 정보공개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투명성(1) 투명한 정보공개(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1

우리사회의 공론화 수준

1. 선생님께서는 우리사회의 공론화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3_1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충실성 - 정책 수립 및 집행 시기의 적절성

3.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내용’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정책의 충실설(2) 정책 수립 및 집행 시기의 적절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TYPE

조사대상 구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DQ2

응답자 연령

2. 연령은 어떻게 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2_1_1

정책 인지도1: 전력관련 설비의 설치 정책

2. 선생님께서는 다음의 정책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또한, 들어본 적이 있거나 잘 알고 계시다면 다음의 정책 방향에 대해서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정책 인지도(1) 전력관련 설비의 설치 정책(원전, 방폐장, 송전탑 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