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_1_3
(의견 개진 경험 있는 경우) 의사 피력 방법3: 정치박람회를 통한 참여
2-1. (문2의 ①번 응답자) 있다면, 어떤 방법으로 의사를 피력하셨습니까? 참여하신 방법에 모두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③ 정치박람회를 통한 참여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5_2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개인적 특성 - 개인적 정책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 및 무관심
5.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대상자(수용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개인적 특성(2) 개인적인 정책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 및 무관심의 정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2_1_4
(의견 개진 경험 있는 경우) 의사 피력 방법4: 기타
2-1. (문2의 ①번 응답자) 있다면, 어떤 방법으로 의사를 피력하셨습니까? 참여하신 방법에 모두 응답해주시기 바랍니다.④ 기타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3_2_1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1: 일관성 - 정책의 지속성
3.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내용’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정책의 일관성(1) 정책의 지속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DQ5
(일반국민과 갈등경험주민인 경우) 응답자 직업
5. 직업은 어떻게 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4_2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상호작용의지 - 주민참여 보장 및 의견수렴 노력
4.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집행자(집행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상호작용의지(2) 주민참여 보장 및 의견수렴 노력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7_3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절차적 요인 - 주민설명회, 공청회 등 참여제도 실시
7.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수단’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3) 절차적 요인(2) 주민설명회, 공청회 등 참여제도 실시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2_2
(의견 개진 경험 있는 경우) 정책현안 및 사업 관련 의견 개진 시 참여 만족도
2-2. 정부의 정책현안 및 사업과 관련하여 의견을 개진하였을 때, 참여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였습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DQ5_1
(공무원인 경우) 갈등관리교육 경험 유무
7. 갈등관리 교육을 받으신 경험이 있습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4_3_1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1: 신뢰 - 집행기관에 대한 신뢰
4.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집행자(집행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3) 신뢰(1) 집행기관에 대한 신뢰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3_2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일관성 - 목표와 정책수단 간의 적절성
3.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내용’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정책의 일관성(2) 목표와 정책수단 간의 적절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2_3
(의견 개진 경험 있는 경우) 정부 정책에 대한 본인 의견의 반영 정도
2-3. 선생님께서 피력한 의견이 정부 정책에 반영되었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4_3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신뢰 - 집행기관 제공 정보에 대한 신뢰
4.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집행자(집행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3) 신뢰(2) 집행기관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DQ5_2
(공무원인 경우) 응답자 직급
5. 현재 직급은 어떻게 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B11_1A
가장 심각한 집단 간 갈등 유형
11-1. 선생님께서는 위 5개의 항목 중 가장 심각한 갈등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DQ5_3_1
(공무원인 경우) 응답자 근무 년수1: 년
6. 공무원으로 일하신지는 몇 년 정도 되셨습니까? ( )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4_3_3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3: 신뢰 - 기존 정책에 대한 신뢰
4.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집행자(집행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3) 신뢰(3) 기존 정책에 대한 신뢰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4_3_4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4: 신뢰 - 집행주체 법규 등 관련 지침 준수 노력
4.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집행자(집행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3) 신뢰(4) 집행주체의 법규 등 관련 지침 준수 노력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4
향후 공론화 참여 의사
4. 선생님께서는 향후 공론화가 실시될 경우, 참여의사가 있으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DQ5_3_2
(공무원인 경우) 응답자 근무 년수2: 개월
6. 공무원으로 일하신지는 몇 년 정도 되셨습니까? ( )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