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4_1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정책수행능력 - 인적·물적 자원 확보 능력
4.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집행자(집행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정책수행능력(2) 인적, 물적 자원 확보 능력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5_1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피규제경험 - 재산권 제약 및 지역발전 지연
5.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대상자(수용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피규제경험(규제를 받은 경험)(2) 재산권 제약 및 지역발전 지연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6_2_1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1: 관련지역 상황 - 거주지역의 누적된 규제경험
6.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환경’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관련지역 상황(1) 거주지역의 누적된 규제경험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7_1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규제 및 경제적 보상 - 정책적 인센티브 제공
7.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수단’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규제 및 경제적 보상(2) 조세혜택, 보상 등 정책적 인센티브 제공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B4
우리사회 집단 및 사회구성원 간 협력 정도
4. 선생님께서는 우리사회 집단 및 사회구성원 간 협력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B6
정부에 대한 신뢰 수준
6. 선생님께서는 정부를 어느 정도 믿을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B10
우리 정부의 갈등관리 역량 수준
10. 선생님께서는 전반적으로 현재 우리 정부의 갈등관리 역량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2
정책현안 및 사업 관련 의견 개진 경험 유무
2. 선생님께서는 정부의 정책현안 및 사업과 관련하여 의견을 개진해 본 경험(시민패널, 포럼, 공개회의 등에 직접적인 참여, 정부홈페이지에 게시글, 덧글 등록 등의 온라인을 통한 참여, 정치박람회를 통한 참여 등)이 있으십니까?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1_2
공론화 원칙 중요도2: 투명성 - 공론화 절차의 투명성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투명성(2) 공론화 절차의 투명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2_2
공론화 원칙 중요도2: 민주성 - 참여의 개방성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민주성(2) 참여의 개방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3_2
공론화 원칙 중요도2: 독립성 - 전담기구 권한의 정도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3) 독립성(2) 전담기구 권한의 정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4_2
공론화 원칙 중요도2: 숙의성 - 의사반영 정도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4) 숙의성(2) 의사반영 정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5_2
공론화 원칙 중요도2: 신뢰성 - 공론화 위원회에 대한 신뢰도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5) 신뢰성(2) 공론화 위원회에 대한 신뢰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6_2
공론화 원칙 중요도2: 실행가능성 - 정부의 실행의지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6) 실행가능성(2) 정부의 실행의지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C5_5_3
공론화 원칙 중요도3: 신뢰성 - 공론화 참여자 간의 신뢰도
5. 다음은 공론화의 주요 원칙과 관련된 요인들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성공적인 공론화를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5) 신뢰성(3) 공론화 참여자 간의 신뢰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6_2_2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2: 관련지역 상황 - 관련 지역 주변 이해관계자들의 태도
6.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환경’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2) 관련상황(2) 관련 지역 주변 이해관계자들의 태도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5_1_3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3: 피규제경험 - 생활의 불편
5.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대상자(수용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피규제경험(규제를 받은 경험)(3) 생활의 불편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4_1_3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3: 정책수행능력 - 기관 간 갈등 조정 능력
4.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 집행자(집행주체)’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정책수행능력(3) 기관 간 갈등 조정 능력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3_1_3
정책수용성 영향요인 중요도3: 충실성 - 정책의 내용 및 기준의 명확성
3. 다음은 정책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정책내용’의 특성과 관련한 것입니다. 다음의 요인들이 정책수용성을 위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1) 정책의 충실설(3) 정책의 내용 및 기준의 명확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
A2_1_2
(정책 인지하는 경우) 정책 만족도1: 전력관련 설비의 설치 정책
2. 선생님께서는 다음의 정책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또한, 들어본 적이 있거나 잘 알고 계시다면 다음의 정책 방향에 대해서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정책에 대한 만족도(1) 전력관련 설비의 설치 정책(원전, 방폐장, 송전탑 등)
정책수용성, 사회통합, 공론화에 대한 인식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