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1820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은 국내 유일의 청소년분야 국책연구기관으로서, 1989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청소년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연구 및 과학적 분석을 통해 국가 청소년정책 수립에 기여해오고 있습니다. 특히,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와 최근 새롭게 시작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를 통해 청소년정책수립에 필요한 경험적, 과학적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디지털 정보사회를 맞이하여 청소년의 시민성 함양 뿐 아니라 글로벌, 다문화역량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청년들의 취업역량 제고 및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8,206건 중 461-480 (소요 시간: 0.008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24A2

청소년 시설 이용 빈도2: 청소년시설

문24. 최근 1년 동안 청소년 시설 및 문화공간을 얼마나 자주 이용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2) 청소년시설(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수련원, 유스호스텔 등) ☞ 청소년수련관은 지역에 따라 '청소년회관', '청소년문화센터', '유스센터'라고도 합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24A3

청소년 시설 이용 빈도3: 체육시설

문24. 최근 1년 동안 청소년 시설 및 문화공간을 얼마나 자주 이용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3) 체육시설(수영장, 농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 ☞ 청소년수련관은 지역에 따라 '청소년회관', '청소년문화센터', '유스센터'라고도 합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24A4

청소년 시설 이용 빈도4: 문화 예술 공간

문24. 최근 1년 동안 청소년 시설 및 문화공간을 얼마나 자주 이용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4) 문화 예술 공간(공연장, 전시장 등) ☞ 청소년수련관은 지역에 따라 '청소년회관', '청소년문화센터', '유스센터'라고도 합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24A1

청소년 시설 이용 빈도1: 공공도서관

문24. 최근 1년 동안 청소년 시설 및 문화공간을 얼마나 자주 이용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1) 공공도서관 ☞ 청소년수련관은 지역에 따라 '청소년회관', '청소년문화센터', '유스센터'라고도 합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28A1

가정에서 청소년 단체활동의 지지 정도

문28. 가정이나 학교에서 청소년단체나 동아리 활동 참여를 얼마나 지지하고 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1) 가정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24A

청소년 시설 이용 만족도

문24-1. (위 4가지 유형의 시설 중 하나라도 이용해본 적이 있는 경우만 응답하십시오.)이용해본 청소년 시설 및 문화공간에 얼마나 만족했습니까?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26

청소년 단체 가입 여부

문26. 최근 1년 동안 청소년 단체(예: 스카우트, 누리단, 한별단, 해양소년단, 과학우주청소년단, RCY 등)에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습니까?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27

동아리 활동 여부

문27. 최근 1년 동안 취미나 문화 활동을 위해 동아리(동호회 포함) 활동(학교 내외 동아리 모두 포함)을 한 적이 있습니까?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25

평일 여가 시간

문25. 학교에 가는 날(평일) 학생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여가시간은 하루에 보통 몇 시간 정도입니까?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46A08

차별 받은 경험 빈도8: 부모님이 안계신다고

문46. (차별 당한 경험) 최근 1년 동안 주위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차별을 당한 적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얼마나 자주 차별을 경험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 응답 내용에 대한 비밀은 보장되오니 솔직하게 응답해 주십시오. (8) 엄마나 아빠가 안 계신다고, 혹은 부모님 없이 할머니, 할아버지와 같이 산다는 이유로 차별을 당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47A2

[중고등학생만] 아르바이트 피해 경험 빈도2: 시간을 초과하여 일하였거나 하기로 한 일과 전혀 다른 일을 하였다

문47-1. (위 문항의 ①번에 응답한 경우)최근 1년 동안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일을 얼마나 자주 경험 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2) 계약 시간보다 초과하여 일을 하였거나 처음 하기로 한 일과 전혀 다른 일을 하였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46A10

차별 받은 경험 빈도10: 다문화 가정이라는 이유로

문46. (차별 당한 경험) 최근 1년 동안 주위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차별을 당한 적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얼마나 자주 차별을 경험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 응답 내용에 대한 비밀은 보장되오니 솔직하게 응답해 주십시오. (10) 다문화 가정(부모님 중 한 분 이상이 외국인인 가정)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당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46A06

차별 받은 경험 빈도6: 외모나 신체조건 때문에

문46. (차별 당한 경험) 최근 1년 동안 주위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차별을 당한 적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얼마나 자주 차별을 경험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 응답 내용에 대한 비밀은 보장되오니 솔직하게 응답해 주십시오. (6) 외모나 신체조건(키, 몸무게 등) 때문에 차별을 당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47A1

[중고등학생만] 아르바이트 피해 경험 빈도1: 임금을 받지 못하거나 약속보다 적게 받았다

문47-1. (위 문항의 ①번에 응답한 경우)최근 1년 동안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일을 얼마나 자주 경험 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1) 일을 하고 나서 임금을 받지 못하거나 약속보다 적게 받았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46A07

차별 받은 경험 빈도7: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문46. (차별 당한 경험) 최근 1년 동안 주위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차별을 당한 적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얼마나 자주 차별을 경험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 응답 내용에 대한 비밀은 보장되오니 솔직하게 응답해 주십시오. (7)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을 당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46A09

차별 받은 경험 빈도9: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문46. (차별 당한 경험) 최근 1년 동안 주위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차별을 당한 적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얼마나 자주 차별을 경험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 응답 내용에 대한 비밀은 보장되오니 솔직하게 응답해 주십시오. (9)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차별을 당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47A3

[중고등학생만] 아르바이트 피해 경험 빈도3: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였다

문47-1. (위 문항의 ①번에 응답한 경우)최근 1년 동안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일을 얼마나 자주 경험 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3) 아르바이트 시작 전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였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47

[중고등학생만]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

문47. 최근 1년 동안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습니까?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17

인권교육 받은 경험 여부 및 횟수

문17. 최근 1년 동안 인권교육을 얼마나 자주 받았습니까? ☞ 인권교육은 가정, 학교, 사회에서의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에 관한 교육으로서 인권의 역사, 유엔아동권리협약, 개인·타인의 권리존중, 차별·편견 등에 대해 교육하는 것을 말합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Q16A4

학교에 대한 생각4: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가르쳐 준다

문16. 학교에 대한 다음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십시오. (4) 학교는 학생들의 미래 직업이나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가르쳐 준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6

<<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