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1820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은 국내 유일의 청소년분야 국책연구기관으로서, 1989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청소년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연구 및 과학적 분석을 통해 국가 청소년정책 수립에 기여해오고 있습니다. 특히,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와 최근 새롭게 시작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를 통해 청소년정책수립에 필요한 경험적, 과학적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디지털 정보사회를 맞이하여 청소년의 시민성 함양 뿐 아니라 글로벌, 다문화역량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청년들의 취업역량 제고 및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8,206건 중 2,701-2,720 (소요 시간: 0.01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2_1A3

수면 부족 이유: 3순위

문2-1. 평소 잠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만 골라 해당 번호를 적어 주세요. 3순위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2_1A2

수면 부족 이유: 2순위

문2-1. 평소 잠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만 골라 해당 번호를 적어 주세요. 2순위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3_1

(아침식사 하지 않는 경우) 이유

문3-1. 아침밥을 먹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지 하나만 선택해 주세요.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4

학교급식에 대한 안전도

문4. (학교 급식을 하는 경우만 응답하세요) 우리학교 급식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나요?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3

아침식사 하는지 여부

문3. 학교에 가기 전 아침밥을 먹나요?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6

응답자 건강상태

문6. 자신의 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나요?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22A2

청소년 시설 이용 빈도2: 청소년시설

문21. 다음은 아동 청소년을 위한 여가 문화시설공간입니다. 최근 1년 동안 청소년 시설 및 문화공간을 얼마나 자주 이용해 보았나요?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청소년수련관은 지역에 따라 '청소년회관', '청소년문화센터', '유스센터'라고도 합니다. 2) 청소년시설(청소년수련과, 청소년문화의길, 청소년수련원, 유스호스텔 등)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22A3

청소년 시설 이용 빈도3: 체육시설

문21. 다음은 아동 청소년을 위한 여가 문화시설공간입니다. 최근 1년 동안 청소년 시설 및 문화공간을 얼마나 자주 이용해 보았나요?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청소년수련관은 지역에 따라 '청소년회관', '청소년문화센터', '유스센터'라고도 합니다. 3) 체육시설(수영장, 농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22A1

청소년 시설 이용 빈도1: 공공도서관

문21. 다음은 아동 청소년을 위한 여가 문화시설공간입니다. 최근 1년 동안 청소년 시설 및 문화공간을 얼마나 자주 이용해 보았나요?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청소년수련관은 지역에 따라 '청소년회관', '청소년문화센터', '유스센터'라고도 합니다. 2) 공공도서관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21A4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 경험 빈도4: 밝히고 싶지 않은 사생활이 알려짐

문21. 최근 1년 동안 인터넷(채팅, 게시판 댓글, 페이스북 등)에서 다음과 같은 일들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나요?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4) 밝히고 싶지 않은 개인비밀이 널리 알려짐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21A5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 경험 빈도5: 따돌림

문21. 최근 1년 동안 인터넷(채팅, 게시판 댓글, 페이스북 등)에서 다음과 같은 일들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나요?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5) 인터넷(게시판 댓글, 채팅, 페이스북 등)에서 따돌림을 당함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21A1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 경험 빈도1: 욕설이나 모욕

문21. 최근 1년 동안 인터넷(채팅, 게시판 댓글, 페이스북 등)에서 다음과 같은 일들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나요?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1) 욕설이나 모욕적인 말을 들음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21A3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 경험 빈도3: 성희롱(놀림)

문21. 최근 1년 동안 인터넷(채팅, 게시판 댓글, 페이스북 등)에서 다음과 같은 일들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나요?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3) 성희롱(놀림)을 당함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20A7

선후배, 친구들로부터 폭력 경험 빈도7: 강제적인 심부름

문20. 최근 1년 동안 학교 안에서 선·후배, 친구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일들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나요?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7) 강제적인 심부름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21A2

사이버공간에서의 피해 경험 빈도2: 협박

문21. 최근 1년 동안 인터넷(채팅, 게시판 댓글, 페이스북 등)에서 다음과 같은 일들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나요?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2) 협박을 당함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44A8

차별 받은 경험 빈도8: 부모님이 안계신다고

문44. 다음은 학생이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차별에 대한 질문입니다. 최근 1년 동안 주위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부당한 차별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8) 엄마나 아빠가 안 계신다고, 혹은 부모님 없이 할머니, 할아버지와 같이 산다는 이유로 차별을 당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44A6

차별 받은 경험 빈도6: 외모나 신체조건 때문에

문44. 다음은 학생이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차별에 대한 질문입니다. 최근 1년 동안 주위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부당한 차별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6) 외모나 신체조건(키, 몸무게 등) 때문에 차별을 당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44A4

차별 받은 경험 빈도4: 가정 형편이 어렵다는 이유로

문44. 다음은 학생이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차별에 대한 질문입니다. 최근 1년 동안 주위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부당한 차별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4) 가정 형편이 어렵다는 이유로 차별을 당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44A5

차별 받은 경험 빈도5: 고향이나 사는 지역 때문에

문44. 다음은 학생이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차별에 대한 질문입니다. 최근 1년 동안 주위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부당한 차별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5) 고향이나 사는 지역 때문에 차별을 당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

Q44A1

차별 받은 경험 빈도1: 남자 또는 여자라는 이유로

문44. 다음은 학생이 일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차별에 대한 질문입니다. 최근 1년 동안 주위 사람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부당한 차별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각 항목을 잘 읽고 해당되는 번호에 표시해 주세요. 1) 남자 또는 여자라는 이유로 차별을 당했다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