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19_4 |
행복점수4: 가정생활
19) 다음은 가장 행복한 상태를 10점으로, 가장 불행한 상태를 0점으로 하여 각 영역별 자신의 행복점수를 표시해 주십시오.
4) 가정생활(부부관계, 자녀와의 관계 등)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19_5 |
행복점수5: 사회생활
19) 다음은 가장 행복한 상태를 10점으로, 가장 불행한 상태를 0점으로 하여 각 영역별 자신의 행복점수를 표시해 주십시오.
5) 사회생활(지역사회단체, 종교, 취미, 친목모임 등)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0 |
우리나라 식량자급률 유지 수준에 대한 인식
20) 귀하는 우리나라의 식량 자급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1 |
자녀(또는 가까운 친척)에게 영농 승계 여부
21) 귀하는 자녀 또는 가까운 친척에게 영농을 승계할 계획이 있습니까?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2_1 |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1: 식량안보 기능
22) 귀하는 다음의 농업·농촌의 다원적(공익적) 기능의 중요성에 어느 정도 공감하십니까?
1) 식량안보기능(식량의 안정적 공급)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2_2 |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2: 국토의 균형발전
22) 귀하는 다음의 농업·농촌의 다원적(공익적) 기능의 중요성에 어느 정도 공감하십니까?
2) 국토의 균형발전(지역경제 활성화)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2_3 |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3: 자연환경 및 생태계 보전
22) 귀하는 다음의 농업·농촌의 다원적(공익적) 기능의 중요성에 어느 정도 공감하십니까?
3) 자연환경 및 생태계 보전(저탄소 녹색성장,지하수 함양, 대기 정화, 홍수조절 등)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2_4 |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4: 전통문화 유지보전
22) 귀하는 다음의 농업·농촌의 다원적(공익적) 기능의 중요성에 어느 정도 공감하십니까?
4) 전통문화 유지보전(주요 문화 유적, 전통 행사 유지 등)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2_5 |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5: 정서함양, 휴가 및 여가제공
22) 귀하는 다음의 농업·농촌의 다원적(공익적) 기능의 중요성에 어느 정도 공감하십니까?
5) 정서함양, 휴가 및 여가제공(농촌 관광, 특산물 축제, 전원생활, 휴식장소 제공 등)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3 |
현 정부의 농업정책 만족도
23) 귀하는 올해 정부가 추진한 농업정책을 전반적으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4 |
새로운 농정 패러다임에 대한 만족도
24) 정부는 지난 10월 현정부가 향후 5년간 추진할「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을 통해 농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아래와 같이 제시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4_1_1 |
새로운 농정 기본방향에 대한 만족도1: 농업정책
24-1) 현 정부가 제시한 새로운 농정 기본방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분야별로 평가해 해당되는 곳에 V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1) 농업정책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4_1_2 |
새로운 농정 기본방향에 대한 만족도2: 소득정책
24-1) 현 정부가 제시한 새로운 농정 기본방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분야별로 평가해 해당되는 곳에 V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2) 소득정책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4_1_3 |
새로운 농정 기본방향에 대한 만족도3: 복지정책
24-1) 현 정부가 제시한 새로운 농정 기본방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분야별로 평가해 해당되는 곳에 V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3) 복지정책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4_1_4 |
새로운 농정 기본방향에 대한 만족도4: 소비/유통
24-1) 현 정부가 제시한 새로운 농정 기본방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분야별로 평가해 해당되는 곳에 V표 해 주시기 바랍니다.
4) 소비·유통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4_2_1 |
정부의 5대 주요 정책과제에 대한 중요도 순위1: 안전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
24-2) 현 정부가 제시한 5대 주요 정책과제에 대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순위를 1~5번 순위까지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안전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친환경 농산물 공급 확대, 농식품 수급관리 강화)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6_1 |
내년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농업정책1
26) 귀하께서는 내년에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할 농업·농촌 분야 현안으로 아래 제시하는 분야 중 무엇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 정책1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6_2 |
내년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농업정책2
26) 귀하께서는 내년에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할 농업·농촌 분야 현안으로 아래 제시하는 분야 중 무엇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 정책2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5_15 |
예산투자를 확대해야 할 농업정책15: 새로운 성장 분야 발굴/육성 정책
25) 향후 5년간 투자를 확대해야할 농업정책 분야 5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15) 새로운 성장 분야 발굴·육성 정책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
|
Q25_16 |
예산투자를 확대해야 할 농업정책16: 농어업분야 국제협상 및 국제협력
25) 향후 5년간 투자를 확대해야 할 농업정책 분야 5가지만 선택해 주세요.
16) 농어업분야 국제협상 및 국제협력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2013 : 농업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