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7 |
이주아동 결석시 대처방법
7. 귀하는 이주아동이 결석하는 경우, 어떻게 하십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id |
응답자 아이디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3 |
이주 아동을 위해 한국어 수업을 하는지 여부
3. 귀 학교에서 이주아동을 위한 한국어 수업을 별도로 진행하고 있습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6_1 |
학교에서 이주아동들에게 제공하는 것1: 학습보충 지도
6. 다음 중 학교에서 이주아동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을 모두 V 표시하세요.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1_1 |
이주아동의 학년배정시 고려사항1: 나이
1. 귀하는 이주아동의 학년배정 시 다음 요소들을 어느 정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12 |
거주사실증명서로 입학가능 인지여부
12. 이주아동의 경우 비자가 없어도 거주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의 제출만으로도 전.입학이 가능합니다. 귀하는 이런 내용을 들어 보신 적이 있습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4_1 |
이주아동이 학급에 미치는 영향1: 행정처리
4. 귀하는 이주아동이 학급에 있을 때, 다음의 사항들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5_1 |
이주아동의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필요성1: 예비한국어 프로그램 운영
5. 귀하는 다음의 요소들이 이주아동의 학업능력 향상을 위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13_1 |
'다문화가정 학생 맞춤교육지원계획' 공문을 본 경험유무
13.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매년 '다문화가정 학생 맞춤교육지원계획'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공문을 보신 적이 있습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5_2 |
이주아동의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필요성2: 학업능력 평가 기준 마련
5. 귀하는 다음의 요소들이 이주아동의 학업능력 향상을 위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4_2 |
이주아동이 학급에 미치는 영향2: 교과진도
4. 귀하는 이주아동이 학급에 있을 때, 다음의 사항들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3_1_1 |
(한국어수업을 하는 경우) 담당자1
3-1. 한국어 수업을 누가 담당합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1_2 |
이주아동의 학년배정시 고려사항2: 본국학제
1. 귀하는 이주아동의 학년배정 시 다음 요소들을 어느 정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area |
조사지역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6_2 |
학교에서 이주아동들에게 제공하는 것2: 방학, 방과후, 주말 기초교과 멘토링
6. 다음 중 학교에서 이주아동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을 모두 V 표시하세요.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8 |
이주아동이 결석하는 이유
8. 귀하는 이주아동이 결석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5_3 |
이주아동의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필요성3: 이주아동만으로 구성된 특별학급 구성
5. 귀하는 다음의 요소들이 이주아동의 학업능력 향상을 위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3_1_2 |
(한국어수업을 하는 경우) 담당자2
3-1. 한국어 수업을 누가 담당합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13_2 |
비자없는 이주아동의 중학교입학 권리 인지 여부
14. 국가인원위원회의 권고에 의해 비자 없는 이주아동이 중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권리가 보장되고 있습니다. 이런 내용을 들어 보신 적이 있습니까?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
|
q6_3 |
학교에서 이주아동들에게 제공하는 것3: 방학, 방과후, 주말 한국어 교육 멘토링
6. 다음 중 학교에서 이주아동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을 모두 V 표시하세요.
이주아동의 교육권 실태조사, 2010 : 교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