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비시리즈11990

자료 검색  Search Tips Start a new search
  • 결과수
  • 정렬 기준
  • 정렬

검색결과 11,990건 중 10,841-10,860 (소요 시간: 0.012 초)

변수명 / 변수설명/ 문항 / 자료명
q8_3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3: 기관 내 교육 및 훈련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음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3) 기관(직장) 내 교육 및 훈련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8_6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6: 정년이나 퇴직 등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음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6) 정년이나 퇴직 등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8_9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9: 기관장은 장애인 차별을 예방하고 있음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9) 기관장(고용주)은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예방하고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8_4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4: 복리후생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음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4) 복리후생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8_7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7: 노조활동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음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7) 노조활동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8_5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5: 승진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음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5) 승진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q17_10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10: 장애특성을 고려한 평가 방식 운용하여 동등한 경쟁이 이뤄지도록 함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10) 시험 및 평가를 함에 있어 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방식(시험방식의 변경)을 운용하여 동등한 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ID

응답자 아이디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KID

응답자 아이디 (KOSSDA 부여)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LOC

조사 장소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DATE

조사 일시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q1

이주민정책 인지 여부1: 모든 이주민은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노동청에 진정하여 구제받을 수 있음

1. 당신은 체류자격과 무관하게 모든 이주민은 직장에서 임금체불을 비롯한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노동청에 진정하여 구제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q1_1

(인지하는 경우) 이주민정책 만족도1: 모든 이주민은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노동청에 진정하여 구제받을 수 있음

1. 당신은 체류자격과 무관하게 모든 이주민은 직장에서 임금체불을 비롯한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노동청에 진정하여 구제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1) 이주민정책 만족도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q2

이주민정책 인지 여부2: 이주민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당했을 때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하여 구제받을 수 있음

2. 당신은 이주민(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부당한 차별을 당했을 때,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하여 구제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q2_1

(인지하는 경우) 이주민정책 만족도2: 이주민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당했을 때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하여 구제받을 수 있음

2. 당신은 이주민(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부당한 차별을 당했을 때,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하여 구제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1) 이주민정책 만족도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q3

이주민정책 인지 여부3: 합법 체류 중인 이주민이 구직이나 이직을 원하는 경우 고용센터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음

3. 당신은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이주민이 구직이나 이직을 원하는 경우 고용센터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q3_1

(인지하는 경우) 이주민정책 만족도3: 합법 체류 중인 이주민이 구직이나 이직을 원하는 경우 고용센터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음

3. 당신은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이주민이 구직이나 이직을 원하는 경우 고용센터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1) 이주민정책 만족도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q4

이주민정책 인지 여부4: 모든 이주민은 직장에서 다치거나 아플 때 산업재해보상보험으로 치료나 보상받을 수 있음

4. 당신은 체류자격과 무관하게 모든 이주민은 직장에서 일 때문에 다치거나 아프게 되었을 때 산업재해보상보험으로 치료 및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q4_1

(인지하는 경우) 이주민정책 만족도4: 모든 이주민은 직장에서 다치거나 아플 때 산업재해보상보험으로 치료나 보상받을 수 있음

4. 당신은 체류자격과 무관하게 모든 이주민은 직장에서 일 때문에 다치거나 아프게 되었을 때 산업재해보상보험으로 치료 및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1) 이주민정책 만족도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

q5

이주민정책 인지 여부5: 외국인 등록을 하고 3개월 이상 합법적으로 체류 중인 이주민은 건강보험에 가입할 수 있음

5. 당신은 외국인 등록을 하고 3개월 이상 합법적으로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이주민은 건강보험에 가입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단, G-1 비자 소지자 제외)

이주인권가이드라인 재구축을 위한 설문조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