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7_19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19: 장애인과 함께 일을 하면 업무 속도가 느려질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9) 장애인과 함께 일을 하면 업무속도가 느려질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7_13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13: 장애인 근로자에게 직무를 설명하기 어려울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3) 장애인 근로자에게 직무를 설명하기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7_15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15: 장애인 근로자의 순환배치는 어려울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5) 장애인 근로자의 순환배치는 어려울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7_17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17: 장애인은 업무 책임감이 좋지 않을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7) 장애인은 업무 책임감이 좋지 않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10_3 |
노조활동 및 비밀보장에서 차별 경험 정도3: 병력이나 장애에 관한 비밀보장이 잘 이뤄짐
10. 노조활동 및 비밀보장에서 장애를 이유로 귀하가 경험한 차별에 대한 정도를 표기해 주십시오.
3) 병력이나 장애에 관한 비밀보장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2 |
장애인차별금지제도의 장애인고용차별에 대한 예방 정도
12. 귀하는 장애인차별금지제도가 장애인고용차별을 예방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3 |
직장 내 장애로 인한 차별 경험 시 대응 방식
13. 귀하는 직장 내에서 장애로 인해 차별을 당했거나 당하게 된다면 어떻게 대응하시겠습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1 |
장애인차별금지법 인지 여부
11. 귀하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의 내용을 잘 알고 있습니까?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7_25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25: 장애인의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꼭 해주어야 할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25) 장애인의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꼭 해주어야 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8_2 |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2: 직무배치 및 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음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2) 직무배치 및 조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7_20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20: 장애인들은 별도의 장소에서 함께 일을 하는 것이 나을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20) 장애인들은 별도의 장소에서 함께 일을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8_1 |
장애인고용차별상황에 대한 인식1: 모집 및 채용과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음
8. 다음은 장애인고용차별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소속된 기관(직장)의 차별 상황에 대해 적절한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1) 모집 및 채용과정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이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7_22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22: 장애인은 근무태도가 좋지 않을 때에도 지적하기 힘들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22) 장애인은 근무태도가 좋지 않을 때에도 지적하기 힘들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7_26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26: 장애인은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이 많을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26) 장애인은 직무수행을 위해 필요로 하는 것이 많을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7_24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24: 장애인의 안전에 좀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24) 장애인의 안전에 좀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7_23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23: 장애인은 업무지시를 잘 알아듣지 못할 것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23) 장애인은 업무지시를 잘 알아듣지 못할 것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7_21 |
장애인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21: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는 단순반복 업무임
7. 다음은 장애인의 직무수행 등 직장생활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의 생각에 부합하는 곳에 V 표를 해주십시오.
21)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무는 단순반복 업무이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비장애인 근로자
|
|
q17_5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5: 시험 및 평가에서 장애특성 및 유형을 고려한 보조인력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5) 시험 및 평가에서 장애의 특성 및 유형을 고려하여 보조인력(대필자, 도우미 등)을 제공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7_2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2: 입사지원서 등은 장애인 스스로 인식 및 작성 가능하도록 제공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2) 입사지원서와 기타 양식은 장애인이 스스로 인식하고 작성할 수 있는 양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
|
q17_9 |
기관의 편의 제공 정도9: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시험에 개인물품 지참 허용
17. 다음은 정당한 편의제공에 관한 내용입니다. 일하고 계신 기관의 편의제공에 대해 항목별로 응답해주십시오.
9) 장애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험 시 필요한 개인물품(점자판, 확대경, 스탠드 등) 지참을 허용한다.
장애인 근로자 고용차별 실태조사, 2017 : 장애인 근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