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2_1_10 |
정신장애인 직업안정 서비스 지원 여부10: 기타
F2. 귀사에 근로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안정을 위해 어떠한 지원이 필요합니까? 현재 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더라도 각 서비스의 필요여부를 응답해 주십시오.
1) 지원 여부
(10) 기타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D5_12 |
(취업 경험 있는 경우) 복리후생 제공 여부12: 통근비용 지원
D5. 귀하가 일하는 사업체에서는 아래의 사항들이 사업주에 의해 제공되고 있습니까?(제공되었습니까?) 해당하는 내용을 선택해 주십시오.
12) 통근비용 지원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
|
D5_10 |
(취업 경험 있는 경우) 복리후생 제공 여부10: 자녀학비 보조
D5. 귀하가 일하는 사업체에서는 아래의 사항들이 사업주에 의해 제공되고 있습니까?(제공되었습니까?) 해당하는 내용을 선택해 주십시오.
10) 자녀학비보조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
|
D5_11 |
(취업 경험 있는 경우) 복리후생 제공 여부11: 근로자 휴양
D5. 귀하가 일하는 사업체에서는 아래의 사항들이 사업주에 의해 제공되고 있습니까?(제공되었습니까?) 해당하는 내용을 선택해 주십시오.
11) 근로자휴양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
|
D5_9 |
(취업 경험 있는 경우) 복리후생 제공 여부9: 경조비 지원
D5. 귀하가 일하는 사업체에서는 아래의 사항들이 사업주에 의해 제공되고 있습니까?(제공되었습니까?) 해당하는 내용을 선택해 주십시오.
9) 경조비 지원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
|
F1_1_7 |
정신장애인 채용을 위한 서비스 지원 여부7: 체계적인 고용서비스 설계를 위한 지원
F1. 귀사는 정신장애인을 채용하기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합니까? 현재 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더라도 각 서비스의 필요 여부를 응답해주십시오.
1) 지원 여부
(7) 기업의 장애인 고용환경 분석·진단부터 적합인력 지원까지 체계적인 고용서비스 설계를 위한 지원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F1_1_5 |
정신장애인 채용을 위한 서비스 지원 여부5: 직무체험을 통해 기업에 적합한 장애인 탐색 기회 제공
F1. 귀사는 정신장애인을 채용하기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합니까? 현재 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더라도 각 서비스의 필요 여부를 응답해주십시오.
1) 지원 여부
(5) 현장에서 일정기간 직무체험을 통해 기업에서 적합 장애인 탐색한 기회 제공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F1_1_6 |
정신장애인 채용을 위한 서비스 지원 여부6: 현장에 활용 가능하도록 일정기간 수행하는 훈련 제공
F1. 귀사는 정신장애인을 채용하기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합니까? 현재 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더라도 각 서비스의 필요 여부를 응답해주십시오.
1) 지원 여부
(6) 현장 직무에 실제 활용 가능하도록 일정기간(1달이상) 수행하는 훈련 제공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F1_1_3 |
정신장애인 채용을 위한 서비스 지원 여부3: 직무분석컨설팅 및 기업체 내 장애인 직업영역 개발
F1. 귀사는 정신장애인을 채용하기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합니까? 현재 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더라도 각 서비스의 필요 여부를 응답해주십시오.
1) 지원 여부
(3) 직무분석 컨설팅 및 기업체 내 장애인 직업영역 개발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F1_1_8 |
정신장애인 채용을 위한 서비스 지원 여부8: 특성에 맞는 특화된 인력 및 지원 고용서비스
F1. 귀사는 정신장애인을 채용하기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합니까? 현재 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더라도 각 서비스의 필요 여부를 응답해주십시오.
1) 지원 여부
(8) 정신장애인의 특성을 맞는 특화된 인력 및 지원고용 서비스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F1_1_4 |
정신장애인 채용을 위한 서비스 지원 여부4: 사전 현장훈련을 통해 직무 적용 후 근로
F1. 귀사는 정신장애인을 채용하기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합니까? 현재 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더라도 각 서비스의 필요 여부를 응답해주십시오.
1) 지원 여부
(4) 사전 현장훈련을 통해 직무에 적용 후 근로(채용)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F1_1_1 |
정신장애인 채용을 위한 서비스 지원 여부1: 기업에 적합한 인력 추천
F1. 귀사는 정신장애인을 채용하기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합니까? 현재 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더라도 각 서비스의 필요 여부를 응답해주십시오.
1) 지원 여부
(1) 기업에 적합한(필요한) 인력 추천(구인서비스)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F1_1_2 |
정신장애인 채용을 위한 서비스 지원 여부2: 모집대행서비스
F1. 귀사는 정신장애인을 채용하기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합니까? 현재 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더라도 각 서비스의 필요 여부를 응답해주십시오.
1) 지원 여부
(2) 모집대행 서비스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E10_1x |
(노력하는 경우) 정신장애인 근로자 인식개선 방법: 기타내용
E10.
1) 정신장애인 근로자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습니까?
: 기타내용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사업체
|
|
E2_3rd |
국가 및 사회에 대한 요구: 3순위
E2. 국가나 사회에 대한 요구 사항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우선 순위로 3가지만 골라 주십시오.
: 3순위(_____)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
|
E2_2nd |
국가 및 사회에 대한 요구: 2순위
E2. 국가나 사회에 대한 요구 사항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우선 순위로 3가지만 골라 주십시오.
: 2순위(_____)
정신장애인 노동권 보장을 위한 실태조사, 2022 : 정신장애인
|
|
b3_1 |
자기결정권 인식1: 내 삶의 목적과 의미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선택/행동을 알고 있음
B3. 다음은 귀하의 자기결정과 관련된 질문입니다. 가장 동의하는 번호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1) 나는 나의 삶의 목적과 의미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떻게 계획하고 선택하며 행동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정신장애인
|
|
c1_2_1 |
정신건강관련 기관 연계 경험 여부1: 정신의료기관
C1. 정신건강복지법에는 다음의 정신건강관련 기관(정신건강증진시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왼쪽 부분에는 귀하가 각 기관을 알고 있는지 선택하여 주십시오. 다음으로 오른쪽 부분에는 각 기관을 이용해본 적이 있는지 선택하여 주시고, 이용경험이 있는 경우 해당 기관에 대한 만족(선호)도를 선택하여 주십시오. 이용경험 여부-정신의료기관(정신병원, 정신과의원)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정신장애인
|
|
c2 |
정신장애인 시설 입소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탈원화에 대한 의견
C2. 정신장애인이 정신병원이나 정신요양시설에서 장기간 입원·입소하는 것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지내는 것을 탈원화라고 합니다. 귀하는 탈원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정신장애인
|
|
b1_1 |
생활만족도1: 신체건강
B1.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현재 귀하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입니까? (1) 귀하의 신체건강
정신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실태조사, 2021 : 정신장애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