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31 |
(의료인인 경우) 환자의 입·퇴원 관리 여부5: 퇴원 후 치료 및 교육연계시스템 운영
32. 퇴원 후 아동·청소년이 학교, 가정, 혹은 지역사회 공동체에 적응할 수 있도록 치료 연계(병원 내 치료 프로그램. 정신건강복지센터, Wee센터 등) 및 교육 연계(교내 특수교육 프로그램등)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32 |
아동·청소년 치료에 대한 개선 사항
33. 아동·청소년 치료와 관련하여 가장 우선하여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 무엇이라 생각합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9 |
(의료인인 경우)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14: 격리 및 강박 시 치료진 협업하에 환자 상태 확인 및 일지 작성
20. 아동·청소년에게 격리 및 강박을 취할 시, 치료진 2-3명의 협업 하에 진행하며, 매 시간마다 환자의 호흡, 혈압, 맥박 등을 체크하고, 격리 및 강박일지를 작성하고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8 |
(의료인인 경우)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13: 격리 및 강박 시 주치의 및 당직의사 지시하에 진행
19. 아동·청소년에게 격리 및 강박을 취할 시 외부 관찰이 가능한 환경에서 주치의 또는 당직 의사의 지시하에 진행하고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20 |
(의료인인 경우)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15: 아동·청소년 대상 전기충격치료 시 별도 치료실에서 진행
21. 아동·청소년에게 전기충격치료가 필요할 경우, 별도의 치료실에서 전기충격치료를 진행하고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6 |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11: 프로그램 운영관련 아동·청소년 전담 전문의 유무
17. 아동·청소년을 위한 별도의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아동·청소년을 전담하는 전문의 또는 치료사가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7 |
(의료인인 경우)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12: 격리 및 강박에 대한 이유 설명
18. 아동·청소년에게 격리 및 강박을 취할 시, 해당 조치를 취하는 이유를 아동·청소년에게 직접 설명하고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21 |
(의료인인 경우)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16: 아동·청소년 대상 별도 치료 정책 및 지침 유무
22.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별도의 치료 정책이나 지침이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5x |
(운영하는 경우)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10: 별도 치료 및 오락 프로그램명
16. 아동·청소년을 위한 별도의 치료 및 오락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까?
: 기타내용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4 |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8: 아동·청소년이 원치 않는 프로그램 참여 강요
15. 아동·청소년이 원하지 않은 프로그램이나 행사에 참여를 강요하시는 편입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5 |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9: 별도 치료 및 오락 프로그램 운영 여부
16. 아동·청소년을 위한 별도의 치료 및 오락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1 |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5: 통신 및 면회 제한 시 전문의 지시하에 시행
12. 아동·청소년의 통신 및 면회를 제한할 시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지시 하에 시행하고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2 |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6: 별도 치료 프로그램에 가족 포함
13. 아동·청소년을 위한 별도의 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해당 프로그램에 가족을 포함시키고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3 |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7: 입원기간 교육기회 제공
14. 아동·청소년의 입원기간 동안 교육적인 기회(예, 교육 프로그램 운영)를 제공하고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10 |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4: 아동·청소년 대상으로 노동 시행
11. 아동·청소년에게 노동(예, 농작물 수확, 배식 등의 작업)을 시행하십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9 |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보장 여부3: 입원실 배정 시 연령 고려
10. 아동·청소년의 경우 입원실 배정 시 연령을 고려하여 배정하고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기관종사자
|
|
Q2_26 |
치료 및 입원 시 권리 보장에 대한 인식26: 치료 종료 후 일상 적응 프로그램 참여
2. 치료와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실태
26) 치료가 끝난 후에도, 학교나 집, 또는 동네에서 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에 계속 참여할 수 있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아동·청소년
|
|
Q2_25 |
치료 및 입원 시 권리 보장에 대한 인식25: 퇴원 시 사후 프로그램 안내
2. 치료와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실태
25) 퇴원할 때, 학교나 집 또는 동네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에 대해 안내를 받았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아동·청소년
|
|
Q2_23 |
치료 및 입원 시 권리 보장에 대한 인식23: 입원 비희망 시 입원 경험
2. 치료와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실태
23) 입원을 원하지 않았는데, 입원한 적이 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아동·청소년
|
|
Q2_24 |
치료 및 입원 시 권리 보장에 대한 인식24: 퇴원 희망 시 퇴원 가능
2. 치료와 입원 환경에서의 권리 실태
24) 퇴원을 원했을 때, 바로 퇴원할 수 있었습니까?
정신의료기관 입원 아동·청소년 인권 실태조사, 2017 : 아동·청소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