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31_6 |
학생-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6: 주변인이 피해자를 의심하거나 행위자를 옹호하며 피해자에게 이해를 구함
31. 학생-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6) 주변인이 피해자를 의심하거나 행위자를 옹호하며 피해자에게 이해를 구하기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1_7 |
학생-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7: 주변인이 행위자 부탁을 받고 피해자 측에 연락하여 말을 전달하거나 압박함
31. 학생-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7) 주변인이 행위자의 부탁을 받고 피해자 측에 연락하여 말을 전달하거나 압박하기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1_8 |
학생-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8: 조사처리 지연이나 절차의 한계 또는 불합리성으로 인한 피해
31. 학생-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8) 조사처리의 지연이나 피해자의 처지가 고려되지 않는 절차의 한계 또는 불합리성으로 인한 피해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1_9 |
학생-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9: 사건조사, 학내 협의, 징계 등의 과정에서 신상비밀 보장의 실패로 인한 피해
31. 학생-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9) 사건조사, 학내 협의, 징계 등의 과정에서 신상비밀 보장의 실패로 인한 피해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1_10 |
학생-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10: 가해자의 징계 불복이나 징계 후 조기 복귀로 인한 피해
31. 학생-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10) 가해자의 징계 불복이나 징계 후 조기 복귀로 인한 피해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2_1 |
교원-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1: 행위자가 자기변명을 하며 주변 소문을 내거나 책임을 피해자에게 전가함
32. 교원-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1) 행위자가 자기변명을 하며 주변에 소문을 내고 다니거나 사건의 책임을 피해자에게 전가하며 탓하기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2_2 |
교원-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2: 피해자에게 문자나 이메일을 보내 행위자의 입장을 피력하거나 만남 종용함
32. 교원-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2) 행위자가 피해자에게 일방적으로 문자나 이메일을 보내 자신의 입장을 피력하거나 만남을 종용하기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2_3 |
교원-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3: 행위자가 사과를 수용하라고 피해자에게 강요함
32. 교원-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3) 행위자가 자신의 사과를 수용하라고 피해자에게 강요하기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2_4 |
교원-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4: 피해자의 신고의사 또는 신고행위 저지를 위한 방해, 모욕, 고소, 협박
32. 교원-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4) 행위자나 측근이 피해자의 신고의사 또는 신고행위를 저지하기 위한 방해, 모욕, 고소, 협박 등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2_5 |
교원-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5: 주변인이 사건에 관하여 소문내거나 피해자에 관하여 부정적으로 언급함
32. 교원-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5) 주변인이 사건에 관하여 소문내거나 피해자에 관하여 부정적으로 언급하기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2_6 |
교원-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6: 주변인이 피해자를 의심하거나 행위자를 옹호하며 피해자에게 이해를 구함
32. 교원-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6) 주변인이 피해자를 의심하거나 행위자를 옹호하며 피해자에게 이해를 구하기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2_7 |
교원-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7: 주변인이 행위자 부탁을 받고 피해자 측에 연락하여 말을 전달하거나 압박함
32. 교원-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7) 주변인이 행위자의 부탁을 받고 피해자 측에 연락하여 말을 전달하거나 압박하기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2_8 |
교원-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8: 조사처리 지연이나 절차의 한계 또는 불합리성으로 인한 피해
32. 교원-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8) 조사처리의 지연이나 피해자의 처지가 고려되지 않는 절차의 한계 또는 불합리성으로 인한 피해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2_9 |
교원-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9: 사건조사, 학내 협의, 징계 등의 과정에서 신상비밀 보장의 실패로 인한 피해
32. 교원-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9) 사건조사, 학내 협의, 징계 등의 과정에서 신상비밀 보장의 실패로 인한 피해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2_10 |
교원-학생 간 사건의 2차피해 발생빈도10: 가해자의 징계 불복이나 징계 후 조기 복귀로 인한 피해
32. 교원-학생 간 사건에서 2차 피해는 얼마나 자주 발생합니까? 2차 피해 유형별로 응답해 주십시오.
10) 가해자의 징계 불복이나 징계 후 조기 복귀로 인한 피해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3_1 |
(성평등 상담기구 있는 경우) 학내 상담기관 시설 수1: 상담을 위한 별도의 상담실
33. 귀 기관의 자체 시설 현황은 어떠합니까?
1) 상담을 위한 별도의 상담실
: ____개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3_2 |
(성평등 상담기구 있는 경우) 학내 상담기관 시설 수2: 행정실 등 일반 사무실
33. 귀 기관의 자체 시설 현황은 어떠합니까?
2) 행정실 등 일반 사무실
: ____개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3_3 |
(성평등 상담기구 있는 경우) 학내 상담기관 시설 수3: 조사/심의 등을 위한 회의실
33. 귀 기관의 자체 시설 현황은 어떠합니까?
3) 조사·심의 등을 위한 회의실
: ____건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3_4 |
(성평등 상담기구 있는 경우) 학내 상담기관 시설 수4: 강의실 또는 교육장
33. 귀 기관의 자체 시설 현황은 어떠합니까?
4) 강의실 또는 교육장
: ____개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
|
q34_1 |
(성평등 상담기구 있는 경우) 연간 기관 예산1: 전체
34. 귀 기관의 전체 연간 예산은 어느 정도이며, 그 중 성희롱·성폭력 상담기구의 연간 예산은 얼마나 됩니까?
1) 전체
대학교 성희롱 및 성폭력 실태조사,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