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3_2_5 |
폭력행위 장소5: 지도자실
D-2. 귀하가 폭력을 경험한 장소는 어디였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⑤ 지도자실(지도자 숙소 포함)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D2_2 |
지도자, 선후배, 동료로부터 당한 경험2: 나는 운동을 하면서 기합이나 얼차려를 받은 적이 있다
D2. 귀하는 지금까지 운동을 하면서(휴식을 포함한 운동생활 전체), 감독이나 코치, 운동부 내 남자 혹은 여자 선후배, 동료 선수들로부터 다음의 행위를 경험한 적이 있습니까?(2) 나는 운동을 하면서 기합이나 얼차려를 받은 적이 있다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E2_7_5 |
성희롱, 성폭력으로 도움을 요청한 경험5: 가족 및 지인에게 알렸다
E2-7. 이런 성희롱ㆍ성폭력 경험 이후 주변 가족이나 동료, 외부 기관(경찰서, 상담소 등)에 도움을 요청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⑤ 가족 및 지인에게 알렸다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A1_3 |
수업보충이 학교수업에 도움이 되는 정도
A1-3. [A1-2의 ①,②번 응답자만] 학교/학과의 보강 및 리포트 제출이 학교수업을 따라 가는데 도움이 됩니까?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B1 |
[성인만] 주로 훈련하는 장소
B1. [성인] 귀하가 주로 훈련(운동)을 하는 곳은 어디입니까?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E2_1 |
성희롱, 성폭력 행위를 한 사람1: 감독/코치
E2. 귀하에게 이러한 성희롱ㆍ성폭력 행위를 한 사람은 누구였습니까?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① 감독/코치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E3 |
성희롱, 성폭력 피해 간접 경험 유무
E3. 같이 운동을 하는 동료(선배, 동기, 후배 등)가 이와 같은 성희롱ㆍ성폭력 피해를 경험하는 것을 보거나 들은 적이 있습니까?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F1_1 |
성폭력 인식1: 사무공간이나 공공장소에서 음란 사이트를 보는 것은 성희롱이다
F1. 다음의 내용에 대해 당신의 생각과 가까운 것을 선택해 주십시오.(1) 사무공간이나 공공장소에서 음란 사이트를 보는 것은 성희롱이다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D4 |
폭력 피해 간접 경험 유무
D4. 같이 운동을 하는 동료(선배, 동기, 후배 등)가 이와 같은 폭력 피해를 경험하는 것을 보거나 들은 적이 있습니까?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D3_4a |
폭력을 가장 처음 경험한 시기
D3-4. 귀하가 폭력을 가장 처음 경험한 시기는 언제입니까?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F2 |
성폭력 예방교육 경험 유무
F2. 지금까지 운동을 하면서, 성폭력 예방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D3_3_2_1 |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이유1: 나의 장애(언어, 신체 등)로 인해 충분히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워서
D3-3-2. [D3-3의 ② 응답자만]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해당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① 나의 장애(언어, 신체 등)로 인해 충분히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워서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G2_1 |
응답자 장애유형1: 지체장애
G2. 귀하의 장애 유형은 무엇입니까? 모두 선택해 주십시오.① 지체장애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D3_3a |
폭력을 당한 후 도움 요청 여부
D3-3. 귀하가 폭력을 경험한 이후 주변 가족이나 동료, 외부 기관(경찰서, 상담소 등)에 도움을 요청한 적이 있습니까?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E2_8_1 |
성희롱, 성폭력 피해 경험이 준 영향1: 그 피해에 대한 기억과 감정이 밀려온다
E2-8. 귀하가 운동부에서 경험한 과거의 폭력 또는 성희롱ㆍ성폭력 피해 경험이 최근 한 달 동안 귀하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 각 항목별로 응답해 주십시오.1) 그 피해에 대한 기억과 감정이 밀려온다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B4 |
장애인 전용체육시설 이용 여부
B4. 귀하는 국가나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장애인 전용체육시설(장애인형 국민체육센터, 장애인 종목 시설 등 포함)을 이용해 본적 있습니까?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A1 |
대회출전이나 훈련으로 학교/학과수업 결석 빈도
A1. 귀하는 대회출전이나 시합 준비(훈련) 때문에 학과수업에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까?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G5 |
현재 운동종목
G5. 귀하의 현재 운동 종목은 무엇인가요? 종목이 여러 개인 경우, 가장 많이 시간을 들여 하고 있는 종목에 대해 응답해 주십시오.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E2_7_1 |
성희롱, 성폭력으로 도움을 요청한 경험1: 운동부 내부기관에 신고했다
E2-7. 이런 성희롱ㆍ성폭력 경험 이후 주변 가족이나 동료, 외부 기관(경찰서, 상담소 등)에 도움을 요청한 적이 있습니까? 해당되는 것을 모두 선택해 주세요.① 운동부 내부 기관(성폭력전담기구, 상담센터, 대한장애인체육회 체육인지원센터 등)에 신고했다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
|
B5 |
지자체 운영 공공체육시설 이용 여부
B5. 귀하는 국가나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한 적이 있습니까?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상황 실태조사,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