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26_3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해당기관을 선택한 이유3: 교육주체기관 홍보를 통하여
26. 위의 응답에서 인권교육을 수강한 기관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3) 교육주최기관의 홍보를 접함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26_4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해당기관을 선택한 이유4: 교육장소 접근성
26. 위의 응답에서 인권교육을 수강한 기관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4) 교육장소의 접근성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26_5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해당기관을 선택한 이유5: 교육일정이 기관 일정에 부합함
26. 위의 응답에서 인권교육을 수강한 기관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5) 교육일정이 기관의 일정과 맞아서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26_6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해당기관을 선택한 이유6: 기타
26. 위의 응답에서 인권교육을 수강한 기관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이었습니까? (중복응답 가능)
6) 기타
: 기타내용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27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기관 인권교육 참여 방법
27.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인권교육에 참여는 어떠한 방법으로 수강하였나요?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28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기관 인권교육 참여 시 초과근무수당 지급 여부
28.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인권교육이 업무 외 시간의 경우 초과 근무 수당을 지급하였나요?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29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기관 교육 방법: 대면 - 비대면
29.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교육은 대면 교육이었나요? 비대면 온라인 교육(사이버 교육)이었나요?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0_1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1: 국가인권위원회 관계자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1) 국가인권위원회 관계자(본부 및 지역사무소 직원)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0_2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2: 국가인권위원회 위촉강사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2) 국가인권위원회 위촉강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0_3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3: 과거 국가인권위원회 양성과정 수료자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3) 국가인권위원회 현재 위촉 상태는 아니지만 과거 인권위 양성과정을 수료한 자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0_4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4: 지자체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4) 지자체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예 : 서울시 인권강사, 경기도 사회복지시설 인권강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0_5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5: 각종 협회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5) 각종 협회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예 : 직능 협회 양성과정 강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0_6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6: 시민단체 및 민간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6) 그 외 시민단체 또는 민간 인권강사 양성과정 수료자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0_7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7: 사회복지학과 교수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7) 사회복지학과 교수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0_8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8: 인권단체 소속 3년 이상 활동한 자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8) 인권단체 소속으로 3년 이상 활동한 자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0_9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9: 모름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9) 모르겠음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0_10 |
(외부교육 수강한 경우) 외부 인권교육 강사10: 기타
30. 2019년 1년 동안 외부기관이 진행하는 의무 인권교육을 진행한 강사는 누구였습니까?(중복응답 가능)
10) 기타
: 기타내용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1_1 |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1: 인권개념 및 역사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인권개념 및 역사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1_2 |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2: 인권과 법정책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인권과 법/정책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
|
q31_3 |
(인권교육 수강한 경우) 2019년 인권교육 수강 내용3: 국제인권기준
31. 귀 시설이 2019년 1년 동안 진행한 인권교육의 주요내용 중 수강한 내용을 모두 표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국제인권기준(유엔아동권리협약, 장애인권리협약, 마드리드노인인권행동계획 등)
사회복지시설 의무 인권교육 모니터링 조사, 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