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32 |
정책 방향성3: 기업이나 정부의 신기술 남용을 '관리, 감독'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
Q32. 다음은 신기술과 정보인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들입니다. 각 정책 방향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 답변해주십시오.
3) 기업이나 정부의 신기술 남용을 ‘관리·감독’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다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33 |
정책 방향성4: 기업이나 정부가 신기술 사용에 앞서 지켜야 할 정보인권 보호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Q33. 다음은 신기술과 정보인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들입니다. 각 정책 방향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 답변해주십시오.
4) 기업이나 정부가 신기술 사용에 앞서 지켜야 할 정보인권 보호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22_4 |
개인정보 익명/가명 처리가 긍정적인 이유4: 빅데이터 수집 및 활용을 확산할 수 있어서
Q22. [21번 문항에서 긍정적으로 답한 경우에만] ‘개인정보 익명/가명’ 처리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④ 빅데이터 수집 및 활용을 확산할 수 있어서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5 |
4차 산업혁명 기술 응용 서비스 이용 경험4: 본인 인증 서비스
Q5. 귀하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응용한 본인 인증 서비스(지문, 홍채, 안면 인식 서비스)를 실제 이용하거나 체험한 적이 있습니까?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20 |
범죄 예방 및 단속을 위한 지능형 CCTV 설치에 대한 의견
Q20. 경찰이 범죄 예방 및 단속을 위해 지나가는 시민의 얼굴을 인식하고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지능형 CCTV를 설치한다면,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35 |
응답자 학력
Q35. 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27_2 |
직장생활에서 경험한 신기술2: 지문 등 생체인식을 활용한 출입 관리
Q27. 다음 중 직장생활에서 경험해 보신 신기술을 모두 골라주세요.
② 지문 등 생체인식을 활용한 출입 관리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18_4 |
스마트 헬스 케어가 부정적인 이유4: 수집된 개인정보들이 유출될 것 같아서
Q18. [16번 문항에서 부정적으로 답한 경우에만]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④ 수집된 개인정보들이 유출될 것 같아서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23_4 |
개인정보 익명/가명 처리가 부정적인 이유4: 빅데이터 관련 산업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한 미봉책 같아서
Q23. [21번 문항에서 부정적으로 답한 경우에만] ‘개인정보 익명/가명’ 처리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④ 빅데이터 관련 산업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한 미봉책 같아서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17_4 |
스마트 헬스 케어가 긍정적인 이유4: 꾸준한 건강 관리가 가능해서
Q17. [16번 문항에서 긍정적으로 답한 경우에만]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④ 꾸준한 건강 관리가 가능해서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27_3 |
직장생활에서 경험한 신기술3: 업무용 애플리케이션
Q27. 다음 중 직장생활에서 경험해 보신 신기술을 모두 골라주세요.
③ 업무용 애플리케이션(전용 메신저, 스케줄러, 업무관리 프로그램 등) 사용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17_5 |
스마트 헬스 케어가 긍정적인 이유5: 가족 또는 지인과 측정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서
Q17. [16번 문항에서 긍정적으로 답한 경우에만]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⑤ 가족 또는 지인과 측정 결과를 공유할 수 있어서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23_5 |
개인정보 익명/가명 처리가 부정적인 이유5: 기타
Q23. [21번 문항에서 부정적으로 답한 경우에만] ‘개인정보 익명/가명’ 처리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⑤ 기타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18_5 |
스마트 헬스 케어가 부정적인 이유5: 의료의 공공성을 해치고 영리화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Q18. [16번 문항에서 부정적으로 답한 경우에만]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⑤ 의료의 공공성을 해치고 영리화 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6 |
4차 산업혁명 기술 응용 서비스 이용 경험5: 타게팅 광고
Q6. 귀하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응용한 타게팅 광고(구글 애드센스, 유튜브 추천 영상 등)를 실제 이용하거나 체험한 적이 있습니까?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22_5 |
개인정보 익명/가명 처리가 긍정적인 이유5: 기타
Q22. [21번 문항에서 긍정적으로 답한 경우에만] ‘개인정보 익명/가명’ 처리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⑤ 기타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34_1ST |
정보인권 보호 및 개선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기관 및 단체: 1순위
Q34. 귀하는 다음 중 어떤 기관이나 단체가 정보인권 보호 및 개선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음 중 우선순위별로 최대 3개까지 응답해주세요.)
1순위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7 |
4차 산업혁명 기술 응용 서비스 이용 경험6: 홈 오토메이션
Q7. 귀하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응용한 홈 오토메이션(스마트 홈 시스템, 놀이터 CCTV 등)을 실제 이용하거나 체험한 적이 있습니까?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18_6 |
스마트 헬스 케어가 부정적인 이유6: 국민이 아닌 통신 및 의료 기기 기업의 이익만 키울 뿐이어서
Q18. [16번 문항에서 부정적으로 답한 경우에만]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⑥ 국민이 아닌 통신 및 의료 기기 기업의 이익만 키울 뿐이어서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
|
Q34_2ND |
정보인권 보호 및 개선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기관 및 단체: 2순위
Q34. 귀하는 다음 중 어떤 기관이나 단체가 정보인권 보호 및 개선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음 중 우선순위별로 최대 3개까지 응답해주세요.)
2순위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