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15_1_5 |
(인지하고 있는 경우) 현 직장에서 타인의 성희롱·성폭력 피해 인지 경로5: 언론 보도를 통해 알게 되었음
Q15-1. 귀하가 [문 15]의 사건을 알게 된 경로는 무엇입니까? (중복응답)
5) 언론 보도를 통해 알게 되었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15_1_6 |
(인지하고 있는 경우) 현 직장에서 타인의 성희롱·성폭력 피해 인지 경로6: 기타
Q15-1. 귀하가 [문 15]의 사건을 알게 된 경로는 무엇입니까? (중복응답)
6) 기타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16 |
현 직장의 성희롱·성폭행 피해 발생시 사건 처리 여부에 대한 의견
Q16. 귀하는 현재 직장에서 성희롱·성폭력이 발생한다면 적절한 사건처리를 해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17 |
현 직장에서 성희롱 예방교육 이수 경험
Q17. 귀하는 현재 직장에서 직장내 성희롱 예방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습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18 |
이전 직장의 근로 형태
Q18. 귀하는 현 직장 직전에는 어떤 형태로 일을 했습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18_1 |
(일했던 경우) 퇴사 후 실업급여 수혜 경험 여부
Q18-1. 귀하는 직전 회사에서 퇴사한 후 실업급여를 받았습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18_2 |
(못받은 경우) 실업급여를 받지 못한 이유
Q18-2. 귀하가 직전 회사퇴사 후 실업급여를 받지 못한 주된 이유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합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19 |
비정규직 근무가 미래계획에 미치는 영향
Q19. 귀하는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것이 미래를 계획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0 |
최근 1년간 이직을 위한 적극적 구직활동 여부
Q20. 귀하는 최근 1년 사이에 이직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해본 적이 있습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1 |
이직을 위한 직업교육훈련 참여 의향
Q21. 귀하는 향후 지금보다 나은 일자리로 이직하기 위해 직업교육훈련을 받을 의향이 있습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1_1 |
(의향 있는 경우) 직업교육훈련기관 선택시 고려사항
Q21-1. 귀하가 직업교육훈련기관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다음 중 무엇입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1_2 |
(의향 있는 경우)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시간 투자 의향
Q21-2. 귀하는 직업교육훈련을 위해 어느 정도 시간을 들일 의향이 있습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1_3 |
(의향 있는 경우)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훈련비 지불 의향
Q21-3. 귀하는 직업교육훈련을 위해 훈련비를 어느 정도 지불할 의사가 있습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2_1 |
비정규직 지원정책 인지도1: 비정규직 근로자가 내일배움카드 과정을 수강한 경우 1년간 2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
Q22.귀하는 다음과 같은 비정규직 지원 정책을 알고 있었습니까?
1) 비정규직 근로자가 내일배움카드 과정을 수강한 경우 1년간 200만원(5년간 3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2_2 |
비정규직 지원정책 인지도2: 비정규직 근로자가 장기간 직업훈련을 받을 경우 생계비 대부지원
Q22.귀하는 다음과 같은 비정규직 지원 정책을 알고 있었습니까?
2) 비정규직 근로자가 장기간 직업훈련을 받을 경우 생계비 대부지원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2_3 |
비정규직 지원정책 인지도3: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사업주에게 지원금 지급
Q22.귀하는 다음과 같은 비정규직 지원 정책을 알고 있었습니까?
3)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한 사업주에게 지원금 지급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2_4 |
비정규직 지원정책 인지도4: 임신 중 또는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중 계약이 만료된 근로자를 무기계약으로 재고용한 사업주에게 지원금 지원
Q22.귀하는 다음과 같은 비정규직 지원 정책을 알고 있었습니까?
4) 임신 중 또는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생후 15개월 이내) 중 계약이 만료된 근로자를 무기계약으로 재고용한 사업주에게 지원금 지원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3 |
여성 비정규직을 위해 추진해야 할 정책
Q23. 귀하는 여성 비정규직을 위해 추진해야 할 가장 중요한 정책은 다음 중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4 |
현 정부의 비정규직 정책이 응답자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Q24. 현 정부에서 추진하는 비정규직 대책이 귀하의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
|
Q25 |
최저임금 인상이 응답자 임금에 미치는 영향
Q25. 2018년 최저임금이 7,530원(월 환산액 1,573,770원)으로 전년대비 대폭 인상되었습니다. 이러한 최저임금 인상이 귀하의 임금에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경기도 비정규직 여성의 근로환경 실태조사, 2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