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
향후 장애위험 영유아 지도시 부모에게 알릴 의향
B2. 귀하가 향후 장애위험 영유아를 지도하게 된다면 부모에게 영유아의 상태를 알리겠습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b3
부모에게 전문기관 평가를 안내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
B3. 귀하의 원에 재원중인 영유아가 장애위험 영유아로 생각되지만 부모에게 전문기관에서의 평가를 안내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c1_1
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1: 담임교사의 눈치를 보게 됨
C1. 교사가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학급에서 함께 교육할 때 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1)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부담감으로 담임교사의 눈치를 보게됨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c1_2
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2: 다른 학급과의 균등한 지원이 어려움
C1. 교사가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학급에서 함께 교육할 때 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2) 보조인력을 계속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다른 학급과의 균등한 지원이 어려워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c1_3
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3: 또래 부모의 반발 및 거부감
C1. 교사가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학급에서 함께 교육할 때 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3) 또래 부모의 반발 및 거부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c1_4
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4: 장애위험 영유아에게 적절한 교육 및 서비스 제공이 어려움
C1. 교사가 장애위험 영유아와 비장애영유아를 학급에서 함께 교육할 때 원장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입니까?
4) 개별적인 지원이 필요한 장애위험 영유아에게 적절한 교육·서비스 제공이 어려움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1_1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1: 만 0세반 (명)
D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1) 만 0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1_2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2: 만 1세반 (명)
D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 만 1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1_3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3: 만 2세반 (명)
D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3) 만 2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1_4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4: 만 3세반 (명)
D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 만 3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1_5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5: 만 4세반 (명)
D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5) 만 4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1_6
장애위험 영유아 1명 배치시 적정 비장애영유아 수6: 만 5세반 (명)
D1. 장애위험 영유아가 학급에 1명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교사 1인당 담당하는 비장애영유아의 수는 몇 명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십니까?
6) 만 5세반
: ____명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2_1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실제 경험1: 보육교직원 대상 장애위험 조기발견 필요성 교육 이수
D2.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실제 경험의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보육교직원 대상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의 필요성 교육 이수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2_2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실제 경험2: 장애위험 영유아 보육으로 인한 업무 증가에 따른 보조인력 우선 지원
D2.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실제 경험의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2) 장애위험 영유아 보육으로 인한 업무증가에 따른 보조인력 우선지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2_3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실제 경험3: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발달검사, 상담의 원내 지원
D2.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실제 경험의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3)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발달검사, 상담의 원내 지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2_4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실제 경험4: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발달검사, 상담의 원외 지원
D2.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실제 경험의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4)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발달검사, 상담의 원외 지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2_5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실제 경험5: 장애위험 영유아 보육관련 정보 제공
D2.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실제 경험의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5) 장애위험 영유아 보육관련 정보 제공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2_6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실제 경험6: 부모 대상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인식 개선 교육
D2.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지한 실제 경험의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6) 부모 대상 장애위험 영유아 선별 및 인식 개선 교육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3_1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필요 정도1: 보육교직원 대상 장애위험 조기발견 필요성 교육 이수
D3.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필요한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1) 보육교직원 대상 장애위험 영유아 조기발견의 필요성 교육 이수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
d3_2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한 필요 정도2: 장애위험 영유아 보육으로 인한 업무 증가에 따른 보조인력 우선 지원
D3. 귀하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과정에 대해 필요한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2) 장애위험 영유아 보육으로 인한 업무증가에 따른 보조인력 우선지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