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21
장애 영유아 통합 어린이집 근무 만족도
문21. 전반적으로 장애아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것에 대한 만족도는 어느 정도 입니까?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1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1: 정부의 시설개보수비 및 교재교구비 지원 등의 물리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1) 통합보육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정부의 시설개보수비, 교재교구비 지원과 같은 물리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2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2: 통합보육 가능한 어린이집이 더욱 확충되어야 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2) 통합보육을 할 수 있는 어린이집이 더욱 확충되어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3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3: 교사대 장애영유아 비율은 1대 2일 필요가 있음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3) 통합보육에서 교사 대 장애 영유아 비율인 1:2일 필요가 있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4: 통합보육 운영을 위한 보조교사 배치 지원이 필요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4) 통합보육을 운영하기 위해 보조교사를 배치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5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5: 통합보육 일반교사에게는 업무 경감이 필요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5) 통합보육을 하는 일반교사에게는 업무의 경감이 필요하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6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6: 성공적인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대 영유아 비율을 줄여야 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6) 성공적인 통합보육을 위해 교사 대 영유아의 비율을 줄여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7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7: 통합보육 이해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 교과목 중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 필수학점을 늘려야 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7) 통합보육의 이해를 위해 보육교사 자격교과목 중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의 이수학점을 늘려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8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8: 어린이집에서는 비장애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해야 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8) 어린이집에서는 비장애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장애 이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9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9: 어린이집에서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모 교육이나 강연회를 계획하여 통합보육 이해를 도와야 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9) 어린이집에서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모교육이나 강연회를 계획하여 통합보육에 대한 이해를 도와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10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10: 교사 대상으로 한 장애이해교육과 통합보육에 대한 연수를 실시해야 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10)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장애이해교육과 통합보육에 대한 연수를 실시해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11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11: 아동학대 발생 시 cctv의 정확한 판별을 위한 사례판정위원회를 둬야 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11) 아동학대 사례 발생 시 cctv의 정확한 판별을 위한 사례판정 위원회를 두어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12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12: 유아특수교사 수급을 위해 경기도권 대학교에 유아특수교육학과를 설치해야 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12) 유아 특수교사 수급을 위해 경기도권 대학교에 유아특수교육학과를 설치해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2_13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13: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유아특수교사 수급 충족을 위해 처우개선이 필요함
문22. 통합보육 인식 및 개선방안
13)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의 유아 특수교사 수급 충족을 위해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3_1
장애아 통합보육 운영 시 필요한 보육 서비스 지원 방식1: 교사인건비 및 수당 지원
문23.장애아 통합보육 운영시 향후 가장 필요한 보육서비스 지원 중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를 선정하여 우선순위를 번호로 적어주십시오.
1) 교사인건비, 수당지원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3_2
장애아 통합보육 운영 시 필요한 보육 서비스 지원 방식2: 장애통합환경 및 교재교구비 지원
문23.장애아 통합보육 운영시 향후 가장 필요한 보육서비스 지원 중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를 선정하여 우선순위를 번호로 적어주십시오.
2) 장애통합 환경 및 교재교구비 지원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3_3
장애아 통합보육 운영 시 필요한 보육 서비스 지원 방식3: 특수교사 및 치료사 지원
문23.장애아 통합보육 운영시 향후 가장 필요한 보육서비스 지원 중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를 선정하여 우선순위를 번호로 적어주십시오.
3) 특수교사, 치료사 지원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3_4
장애아 통합보육 운영 시 필요한 보육 서비스 지원 방식4: 시간제 일시보육 지원
문23.장애아 통합보육 운영시 향후 가장 필요한 보육서비스 지원 중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를 선정하여 우선순위를 번호로 적어주십시오.
4) 시간제 일시보육 지원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3_5
장애아 통합보육 운영 시 필요한 보육 서비스 지원 방식5: 야간 및 공휴일 보육 지원
문23.장애아 통합보육 운영시 향후 가장 필요한 보육서비스 지원 중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를 선정하여 우선순위를 번호로 적어주십시오.
5) 야간 및 공휴일 보육 지원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
Q23_6
장애아 통합보육 운영 시 필요한 보육 서비스 지원 방식6: 장애 영유아 보육비 추가 지원
문23.장애아 통합보육 운영시 향후 가장 필요한 보육서비스 지원 중 중요한 순서대로 3가지를 선정하여 우선순위를 번호로 적어주십시오.
6) 장애 영유아 보육비 추가 지원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보육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