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
심층검사 및 치료지원 실시전 부모 동의를 받는 과정
B2.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심층검사와 치료지원 실시하기 전, 부모동의를 받는 과정은 어떻습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3_1
부모 동의 없는 경우 심층검사 및 치료지원 진행 방법1: 전문가가 직접 동의를 받음
B3.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가 선별검사를 받은 다음, 심층검사와 치료지원에 대한 부모동의를 받지 못한 경우 어떻게 진행하십니까?
1) 전문가가 직접 동의를 받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3_2
부모 동의 없는 경우 심층검사 및 치료지원 진행 방법2: 교사에게 심리적, 정서적 지원 제공
B3.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가 선별검사를 받은 다음, 심층검사와 치료지원에 대한 부모동의를 받지 못한 경우 어떻게 진행하십니까?
2) 교사에게 심리적, 정서적 지원 제공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3_3
부모 동의 없는 경우 심층검사 및 치료지원 진행 방법3: 교사에게 학급 내 장애위험 영유아를 대상으로 교수방법 안내
B3.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가 선별검사를 받은 다음, 심층검사와 치료지원에 대한 부모동의를 받지 못한 경우 어떻게 진행하십니까?
3) 교사에게 학급 내 장애위험 영유아를 대상으로 교수방법 안내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3_4
부모 동의 없는 경우 심층검사 및 치료지원 진행 방법4: 심층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시간을 두고 관찰자료를 수집함
B3.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가 선별검사를 받은 다음, 심층검사와 치료지원에 대한 부모동의를 받지 못한 경우 어떻게 진행하십니까?
4) 심층검사를 실시하지 않고 시간을 두고 관찰자료를 수집함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3_5
부모 동의 없는 경우 심층검사 및 치료지원 진행 방법5: 더 이상 권유하지 않음
B3.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가 선별검사를 받은 다음, 심층검사와 치료지원에 대한 부모동의를 받지 못한 경우 어떻게 진행하십니까?
5) 더 이상 권유하지 않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3x
부모 동의 없는 경우 심층검사 및 치료지원 진행 방법: 기타내용
B3.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가 선별검사를 받은 다음, 심층검사와 치료지원에 대한 부모동의를 받지 못한 경우 어떻게 진행하십니까?
: 기타내용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4
부모 동의 후 진행 방법
B4.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가 선별검사를 받은 다음, 심층검사와 치료지원에 대한 부모동의를 얻은 이후 어떻게 진행하십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4x
부모 동의 후 진행 방법: 기타내용
B4. 귀하는 장애위험 영유아가 선별검사를 받은 다음, 심층검사와 치료지원에 대한 부모동의를 얻은 이후 어떻게 진행하십니까?
: 기타내용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5
주된 치료지원 형태
B5. (치료지원을 제공하는 경우) 치료지원은 주로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5x
주된 치료지원 형태: 기타내용
B5. (치료지원을 제공하는 경우) 치료지원은 주로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 기타내용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6_1
주된 기관 제공 치료지원1: 놀이치료
B6. 귀 기관에서 주로 지원하고 있는 치료지원은 무엇입니까?(2가지만선택함)
1) 놀이치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6_2
주된 기관 제공 치료지원2: 언어치료
B6. 귀 기관에서 주로 지원하고 있는 치료지원은 무엇입니까?(2가지만선택함)
2) 언어치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6_3
주된 기관 제공 치료지원3: 인지학습치료
B6. 귀 기관에서 주로 지원하고 있는 치료지원은 무엇입니까?(2가지만선택함)
3) 인지학습치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6_4
주된 기관 제공 치료지원4: 물리, 작업치료
B6. 귀 기관에서 주로 지원하고 있는 치료지원은 무엇입니까?(2가지만선택함)
4) 물리, 작업치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6_5
주된 기관 제공 치료지원5: 음악, 미술치료
B6. 귀 기관에서 주로 지원하고 있는 치료지원은 무엇입니까?(2가지만선택함)
5) 음악, 미술치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6_6
주된 기관 제공 치료지원6: 행동치료
B6. 귀 기관에서 주로 지원하고 있는 치료지원은 무엇입니까?(2가지만선택함)
6) 행동치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6_7
주된 기관 제공 치료지원7: 심리, 상담지원
B6. 귀 기관에서 주로 지원하고 있는 치료지원은 무엇입니까?(2가지만선택함)
7) 심리, 상담지원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6_8
주된 기관 제공 치료지원8: 감각통합치료
B6. 귀 기관에서 주로 지원하고 있는 치료지원은 무엇입니까?(2가지만선택함)
8) 감각통합치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
b6_9
주된 기관 제공 치료지원9: 없음
B6. 귀 기관에서 주로 지원하고 있는 치료지원은 무엇입니까?(2가지만선택함)
9) 없음
경기도 장애위험 영유아 지원 실태조사, 2020 : 특수보육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