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8_3
(협조 및 지원 받는 경우) 장애아 관련 기관으로부터 협조 및 지원 형태3: 치료 지원 서비스
문18. 협조나 지원을 받는 경우, 어떤 협조나 지원을 받고 있습니까? (해당기관 및 유형에 중복 V표시 가능)
3) 치료지원 서비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18_4
(협조 및 지원 받는 경우) 장애아 관련 기관으로부터 협조 및 지원 형태4: 장애 아동 선별 및 발달 검사 지원
문18. 협조나 지원을 받는 경우, 어떤 협조나 지원을 받고 있습니까? (해당기관 및 유형에 중복 V표시 가능)
4) 장애 아동 선별 및 발달검사 지원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18_5
(협조 및 지원 받는 경우) 장애아 관련 기관으로부터 협조 및 지원 형태5: 부모 교육 지원
문18. 협조나 지원을 받는 경우, 어떤 협조나 지원을 받고 있습니까? (해당기관 및 유형에 중복 V표시 가능)
5) 부모교육 지원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18_6
(협조 및 지원 받는 경우) 장애아 관련 기관으로부터 협조 및 지원 형태6: 교재 및 교구 대여
문18. 협조나 지원을 받는 경우, 어떤 협조나 지원을 받고 있습니까? (해당기관 및 유형에 중복 V표시 가능)
6) 교재·교구 대여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18_7
(협조 및 지원 받는 경우) 장애아 관련 기관으로부터 협조 및 지원 형태7: 기타
문18. 협조나 지원을 받는 경우, 어떤 협조나 지원을 받고 있습니까? (해당기관 및 유형에 중복 V표시 가능)
7) 기타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19
CCTV 설치 의무화 이후 장애아 담당 보육교사 퇴직 사례 발생 여부
문19. CCTV설치 의무화 후 장애아 담당 보육교사들이 힘들어 cctv 하거나 그만두는 사례가 발생합니까?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19x
CCTV 설치 의무화 이후 장애아 담당 보육교사 퇴직 사례 발생 여부: 기타내용
문19. CCTV설치 의무화 후 장애아 담당 보육교사들이 힘들어 cctv 하거나 그만두는 사례가 발생합니까?
: 기타내용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0
중증장애 영유아 입소 시 비장애아 보육 어려움 정도
문20. 장애중증별 구분 없이 장애 영유아 입소를 받고 있어, 중증장애 영유아가 입소했을 시 비장애아들의 보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까?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1
2016년 3월 시행 보육교사 자격 취득에 대한 교사 수급의 어려움 정도
문21. 현재 근무하고 있는 장애아 담당 보육교사는 2016년 3월부터 시행되는 장애 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을 취득(취득예정)에 있어 교사 수급에 차질이 없습니까?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2
2016년 3월 시행 보육교사 자격 취득 관련하여 교사 수급의 어려움 정도
문22. 2016년부터 시행되는 장애아동복지지원법에 의하면 장애아를 위한 보육교사 2명 중 1명은 특수교사를 두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장애통합반 2반 이상 개설시 특수교사 수급에 문제가 발생할 것 같습니까?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3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어려움 정도
문23. 전반적으로 장애아통합어린이집을 운영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까?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4_1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1: 정부의 시설개보수비 및 교재교구비 지원 등의 물리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함
문2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1) 통합보육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정부의 시설개보수비 교재교구비 , 지원과 같은 물리적??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4_2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2: 통합보육 가능한 어린이집이 더욱 확충되어야 함
문2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2) 통합보육을 할 수 있는 어린이집이 더욱 확충되어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4_3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3: 교사대 장애영유아 비율은 1대 2일 필요가 있음
문2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3) 통합보육에서 교사대 장애 영유아 비율은 1:2일 필요가 있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4_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4: 통합보육 운영을 위한 보조교사 배치 지원이 필요함
문2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4) 통합보육을 운영하기 위해 보조교사를 배치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4_5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5: 통합보육 일반교사에게는 업무 경감이 필요함
문2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5) 통합보육을 하는 일반교사에게는 업무의 경감이 필요하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4_6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6: 성공적인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대 영유아 비율을 줄여야 함
문2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6) 성공적인 통합보육을 위해 교사 대 영유아의 비율을 줄여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4_7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7: 통합보육 이해를 위한 보육교사 자격 교과목 중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 필수학점을 늘려야 함
문2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7) 통합보육의 이해를 위해 보육교사 자격교과목 중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의 필수학점을 늘려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4_8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8: 어린이집에서는 비장애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해야 함
문2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8) 어린이집에서는 비장애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장애 이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
Q24_9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9: 어린이집에서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모 교육이나 강연회를 계획하여 통합보육 이해를 도와야 함
문24.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
9) 어린이집에서는 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모교육이나 강연회를 계획하여 통합보육에 대한 이해를 도와야 한다.
경기도 어린이집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실태조사, 2015 :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