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8_4 |
집에 대한 인식4: 정부의 규제
8-4. 다음 중 어느 의견에 더 동의하십니까?
1. 정부가 다주택자/부동자 임대사업자들을 규제하는 것은 적절하다
2. 정부가 다주택자/부동자 임대사업자들을 규제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8_5 |
집에 대한 인식5: 현 정부의 규제 정책
8-5. 다음 중 어느 의견에 더 동의하십니까?
1. 현 정부의 다주택자/부동자 임대사업자 규제 정책은 과도하다
2. 현 정부의 다주택자/부동자 임대사업자 규제 정책은 적절하다
3. 현 정부의 다주택자/부동자 임대사업자 규제 정책은 미흡하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8_6 |
집에 대한 인식6: 집값 조정을 위한 정부의 개입
8-6. 다음 중 어느 의견에 더 동의하십니까?
1. 집값 조정을 위해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
2. 집값 조정을 위해 정부가 개입해서는 안 된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8_7 |
집에 대한 인식7: 부동산 정책
8-7. 다음 중 어느 의견에 더 동의하십니까?
1. 현재 대한민국의 부동산 정책은 집주인에게 유리하다
2. 현재 대한민국의 부동산 정책은 세입자에게 유리하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9 |
현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 인지
C9. 귀하께서는 현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0_1 |
정부의 부동산 정책 도움 정도1: 고가주택 보유자와 다주택자에 대한 과세율 인상
C10. 다음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내용입니다. 다음 정책이 부동산 시장 안정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혹은 도움이 안 되는지 표시해 주십시오.
1. 고가주택 보유자와 다주택자에 대한 과세율 인상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0_2 |
정부의 부동산 정책 도움 정도2: 다주택자가 신규 주택 구입 시, 주택담보대출을 제한
C10. 다음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내용입니다. 다음 정책이 부동산 시장 안정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혹은 도움이 안 되는지 표시해 주십시오.
2. 다주택자가 신규 주택 구입 시, 주택담보대출을 제한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0_3 |
정부의 부동산 정책 도움 정도3: 분양가를 땅 구입비용에 건축비를 더한 금액으로 제한하는 분양가 상한제 확대
C10. 다음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내용입니다. 다음 정책이 부동산 시장 안정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혹은 도움이 안 되는지 표시해 주십시오.
3. 분양가를 땅 구입비용에 건축비를 더한 금액으로 제한하는 분양가 상한제 확대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0_4 |
정부의 부동산 정책 도움 정도4: 수도권의 공공택지를 개발하고, 도심내 규제를 완화하여 주택 공급을 확대
C10. 다음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내용입니다. 다음 정책이 부동산 시장 안정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혹은 도움이 안 되는지 표시해 주십시오.
4. 수도권의 공공택지를 개발하고, 도심내 규제를 완화하여 주택 공급을 확대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0_5 |
정부의 부동산 정책 도움 정도5: 지방 미분양 지역의 새로운 아파트 공급 제한
C10. 다음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내용입니다. 다음 정책이 부동산 시장 안정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혹은 도움이 안 되는지 표시해 주십시오.
5. 지방 미분양 지역의 새로운 아파트 공급 제한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1_1 |
분양가 상한제의 기대효과1: 투기과열지구의 집값을 조정하여 부동산 시장 안정화
C11. 다음 분양가 상한제의 기대효과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분양가 상한제: 분양가를 택지비(땅 구입비용)에 건축비를 더한 금액 이하로 제한하는 제도)
1. 투기과열지구의 집값을 조정하여 부동산 시장 안정화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1_2 |
분양가 상한제의 기대효과2: 공급부족 우려로 주변 지역의 집값 상승
C11. 다음 분양가 상한제의 기대효과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분양가 상한제: 분양가를 택지비(땅 구입비용)에 건축비를 더한 금액 이하로 제한하는 제도)
2. 공급부족 우려로 주변 지역의 집값 상승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1_3 |
분양가 상한제의 기대효과3: 5~10년 동안 집을 되팔지 못하게 하여 실수요자들에게 긍정적 효과
C11. 다음 분양가 상한제의 기대효과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분양가 상한제: 분양가를 택지비(땅 구입비용)에 건축비를 더한 금액 이하로 제한하는 제도)
3. 5~10년 동안 집을 되팔지 못하게 하여 실수요자들에게 긍정적 효과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1_4 |
분양가 상한제의 기대효과4: 건설회사들이 높은 분양가로 지나치게 이익을 얻는 것 방지
C11. 다음 분양가 상한제의 기대효과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분양가 상한제: 분양가를 택지비(땅 구입비용)에 건축비를 더한 금액 이하로 제한하는 제도)
4. 건설회사들이 높은 분양가로 지나치게 이익을 얻는 것 방지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1_5 |
분양가 상한제의 기대효과5: 분양 수익 감소로 재개발, 재건축 사업 시장 위축
C11. 다음 분양가 상한제의 기대효과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분양가 상한제: 분양가를 택지비(땅 구입비용)에 건축비를 더한 금액 이하로 제한하는 제도)
5. 분양 수익 감소로 재개발, 재건축 사업 시장 위축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2_1 |
부동산 정책 결과1: 집값 안정화
12-1.전반적인 방향이나 정책의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현 정부 부동산 정책의 결과가 현재까지는 어디에 가깝다고 보십니까?
1.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 같다
2. 집값 안정화로 이어지는 것 같다
3. 집값 하락으로 이어지는 것 같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2_2 |
부동산 정책 결과2: 부동산 투기
12-1.전반적인 방향이나 정책의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현 정부 부동산 정책의 결과가 현재까지는 어디에 가깝다고 보십니까?
1.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는 것 같다
2. 부동산 투기를 부추기는 것 같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2_3 |
부동산 정책 결과3: 서민 내집마력
12-1.전반적인 방향이나 정책의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현 정부 부동산 정책의 결과가 현재까지는 어디에 가깝다고 보십니까?
1. 서민·중산층의 내집마련에 도움이 되는 것 같다
2.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c12_4 |
부동산 정책 결과4: 다주택자 부담
12-1.전반적인 방향이나 정책의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현 정부 부동산 정책의 결과가 현재까지는 어디에 가깝다고 보십니까?
1. 집을 여러 채 가진 사람들에게 부담을 주는 것 같다
2. 그렇지는 않은 것 같다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
|
job |
응답자 직업
BQ5. 직업(일)으로 하시는 일은 무엇입니까?
한국리서치 여론 속의 여론, 2019 : 저출산·임산부배려석, 부동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