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7_1 |
(인지하는 경우) 효순/미선 사건에 대해 사과한 인물 인지
B7-1. 그렇다면, 효순미선 사건에 대하여 미국을 대표하여 누가 사과한 것으로 알고 계십니까?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B6_5 |
미국에 대한 의견5: 한국과 미국은 이해관계가 같다
B6. 귀하께서는 미국에 대한 다음 의견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5) 한국과 미국은 이해관계가 같다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B8 |
중국의 부상시 한국과 일본 간 군사동맹의 필요성
B8. 귀하께서는 중국의 부상이 계속되면 한국과 일본간의 군사동맹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B7 |
2002년 효순/미순 사건 인지정도
B7. 귀하께서는 지난 2002년에 있었던 효순미선 사건을 알고 계십니까?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B9 |
한일 관계 발전의 걸림돌
B9. 다음 중 한일 관계 발전에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DQ3_2a |
(자녀 있는 경우) 첫째자녀 연령
DQ3-2. 자녀의 나이는 만으로 몇 세입니까?
: 첫째 자녀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DQ3_2b |
(자녀 있는 경우) 둘째자녀 연령
DQ3-2. 자녀의 나이는 만으로 몇 세입니까?
: 둘째 자녀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DQ3_2c |
(자녀 있는 경우) 셋째자녀 연령
DQ3-2. 자녀의 나이는 만으로 몇 세입니까?
: 셋째 자녀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DQ3_2d |
(자녀 있는 경우) 넷째자녀 연령
DQ3-2. 자녀의 나이는 만으로 몇 세입니까?
: 넷째 자녀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DQ3_1a |
(기혼인 경우) 자녀유무
DQ3-1. 귀하께서는 자녀가 있으십니까?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DQ3_1b |
자녀수
DQ3-1. 귀하께서는 자녀가 있으십니까? (자녀 수)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DQ3 |
응답자 혼인여부
DQ3. 귀하께서는 결혼을 하셨습니까?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DQ2 |
응답자 학력
DQ2. 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떻게 되십니까?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DQ1 |
응답자 직업
DQ1. 귀하의 직업은 무엇입니까?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B1_4 |
주변국에 대한 호감도4: 북한
B1. 귀하께서는 아래의 주변국가들을 얼마나 좋아하십니까? 좋아하는 정도를 0점에서 10점까지의 점수 중 하나로 선택해 주십시오. 매우 좋을 경우 10점, 전혀 좋아하지 않을 경우 0점입니다.
4) 북한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B1_3 |
주변국에 대한 호감도3: 일본
B1. 귀하께서는 아래의 주변국가들을 얼마나 좋아하십니까? 좋아하는 정도를 0점에서 10점까지의 점수 중 하나로 선택해 주십시오. 매우 좋을 경우 10점, 전혀 좋아하지 않을 경우 0점입니다.
3) 일본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B1_2 |
주변국에 대한 호감도2: 중국
B1. 귀하께서는 아래의 주변국가들을 얼마나 좋아하십니까? 좋아하는 정도를 0점에서 10점까지의 점수 중 하나로 선택해 주십시오. 매우 좋을 경우 10점, 전혀 좋아하지 않을 경우 0점입니다.
2) 중국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B6_2 |
미국에 대한 의견2: 미국은 과거 우리나라 민주화의 장애물이었다
B6. 귀하께서는 미국에 대한 다음 의견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2) 미국은 과거 우리나라 민주화의 장애물이었다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B6_1 |
미국에 대한 의견1: 분단의 책임은 미국에 있다
B6. 귀하께서는 미국에 대한 다음 의견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
1) 분단의 책임은 미국에 있다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
|
B2 |
통일 이후 가장 위협이 될 국가
B2. 귀하께서는 통일 이후 한국에 가장 위협이 될 국가는 어디라고 생각하십니까?
한국사회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2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