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094 |
연구실내 구성원들간 의사결정구조의 민주성/권위성 평가
10. 선생님의 연구실은 구성원들 사이(교수/학생, 연구책임자/연구원)의 소통과 의사결정 구조에서 얼마나 민주적/권위적이라고 생각하시는지 그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153 |
박사학위 취득이후 포스트 닥터 과정 여부
18. 선생님께서는 박사학위 취득이후 포스트 닥터 과정을 밟으셨습니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134 |
박사학위-취득국가(국내/국외선택)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박사 학위]: 취득국가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176 |
post doc 이외 첫 번째 정규직직장: 현재재직여부
18. 선생님께서는 박사학위 취득이후 포스트 닥터 과정을 밟으셨습니까?19. 다음은 선생님의 과학자로서의 경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박사학위를 취득하신 이후 첫 번째 직업은 무엇이었습니까?[post doc 이외 첫 번째 정규직직장]1) 재직여부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61 |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받아 본 경험1: 주요 학술지 편집인단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나의 실제 경력]1) 주요 학술지 편집인단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115 |
학사학위-취득국가(국내/국외선택)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학사 학위]: 취득국가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67 |
연구활동에 대한 의견1: 나는 대외적으로 활발하게 전문가 활동을 하고 있다
6. 다음 문항들은 선생님께서 연구하시는 환경의 조건이나 연구 태도를 묘사하는 내용입니다. 선생님께서는 각각의 내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1) 나는 대외적으로 활발하게 전문가 활동(예: 편집인, 정부회의, 과학전문 단체 등)을 하고 있다.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70 |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1: 국내 과학계 동료심사에 대한 신뢰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1) 연구논문에 대한 국내 과학계의 동료심사(peer review)는 신뢰할 만하다.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52 |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1: 주요 학술지 편집인단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1) 주요 학술지 편집인단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46 |
한국에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한 중요 요인: 2순위
2. 선생님께서는 우리나라에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2가지를 선택해 주십시오.2) 2순위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162 |
post doc 이외 첫 번째 정규직직장: 재직시작년도
18. 선생님께서는 박사학위 취득이후 포스트 닥터 과정을 밟으셨습니까?19. 다음은 선생님의 과학자로서의 경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박사학위를 취득하신 이후 첫 번째 직업은 무엇이었습니까?[post doc 이외 첫 번째 정규직직장]2) 재직시작년도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50 |
과학자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평가
4. 그렇다면 선생님께서 본인을 스스로 평가하실 때, 10점 만점에 몇 점을 주시겠습니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53 |
과학자에 대한 사회적 인정 유형별 중요도2: 공동연구자로 초빙 받음
5. 다음과 같은 인정 유형은 각각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까? 또, 선생님께서는 지난 3년간 그와 같은 인정을 어느 정도나 받으셨습니까? [개인적 중요성]2) 공동연구자로 초빙 받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108 |
응답자 출생년도
15. 선생님은 몇 년도에 출생하셨습니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214 |
박사학위-지역명(국내)
17. 다음은 선생님의 학사학위 대학과 박사학위 대학에 관한 질문입니다. [박사 학위]: 지역명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83 |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2: 데이터의 일부 변조
8.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선생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2) 데이터의 일부 변조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71 |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에 대한 의견2: 전공분야에서의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한 논문발표 연기 및 포기
7. 다음은 한국의 과학자 사회의 가치와 규범을 이해하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다음 각 문항에 대해 선생님의 의견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해 주십시오.2) 내 전공분야에서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해 국내 과학자가 논문발표를 늦추거나 포기한 것을 본 적이 있다.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68 |
연구활동에 대한 의견2: 학회 뒤풀이, 실험실, 식당 등에서 나누는 비공식적인 대화는 나의 연구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6. 다음 문항들은 선생님께서 연구하시는 환경의 조건이나 연구 태도를 묘사하는 내용입니다. 선생님께서는 각각의 내용에 대해 얼마나 동의하십니까?2) 학회 뒤풀이, 실험실, 식당 등에서 나누는 비공식적인 대화는 나의 연구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175 |
박사학위 취득 후 post doc: 현재재직여부
18. 선생님께서는 박사학위 취득이후 포스트 닥터 과정을 밟으셨습니까?19. 다음은 선생님의 과학자로서의 경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박사학위를 취득하신 이후 첫 번째 직업은 무엇이었습니까?[박사학위 취득 후 post doc]1) 재직여부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96 |
성차별 경험 여부2: 성별로 인해 취업시 직장으로부터 불이익을 당한 경험
11. 다음은 성차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의 질문 중 선생님의 경험과 일치하면 ‘예’를 일치하지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해주십시오. 2) 나는 성별로 인해 취업시 직장으로부터 불이익을 당한 경험이 있다.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