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35_1 |
[RE] 현재 소속(서울/지방)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19_2 |
학위논문 주제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 2순위
19. 학위논문 주제를 선택할 때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십니까?(중요한 순서대로 2개)2) 2순위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20_A1 |
다른 분야 연구자와 다른 느낌을 받은 이유: 1순위
20. 다른 분야(예를 들어,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등) 연구자들과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2개)1) 1순위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20_A2 |
다른 분야 연구자와 다른 느낌을 받은 이유: 2순위
20. 다른 분야(예를 들어,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등) 연구자들과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가장 중요한 순서대로 2개)2) 2순위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20_1 |
다른 분야 연구자와 다른 느낌을 받은 시기
20. 다른 분야(예를 들어, 인문학이나 사회과학 등) 연구자들과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20-1. 다르다는 느낌을 처음 받은 때는 언제입니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21 |
졸업후 직업 예상
21. 귀하는 졸업 후 어떤 직업을 갖게 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22_1 |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1: 성공적인 연구 결과를 냈을 때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1) 성공적인 연구 결과를 냈을 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22_2 |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2: 지도교수로부터 인정을 받았을 때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2) 지도교수로부터 인정을 받았을 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22_3 |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3: 논문에 내 이름이 적절한 순서에 올라있는 것을 보았을 때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3) 논문에 내 이름이 적절한 순서에 올라있는 것을 보았을 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22_4 |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4: 다른 사람의 논문에 내 논문이 인용되었을 때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4) 다른 사람의 논문에 내 논문이 인용되었을 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22_5 |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5: 제1 저자로 SCI 논문이 실렸을 때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5) 제1 저자로 SCI 논문이 실렸을 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Q22_6 |
과학자로서 보람을 느끼는 때6: 연구계획서가 채택되어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었을 때
22. 과학자로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십니까? 각 문항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표시해주십시오.6) 연구계획서가 채택되어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었을 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예비과학자
|
|
id |
응답자 아이디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38 |
과학자로서 삶에 대한 만족도
1. 선생님께서는 과학자로서 삶에 전반적으로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44 |
한국에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한 중요 요인: 1순위
2. 선생님께서는 우리나라에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2가지를 선택해 주십시오.1) 1순위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82 |
연구부정행위의 심각성1: 없는 결과 만들어내기
8. 다음은 연구 부정행위의 여러 가지 유형입니다. 선생님의 연구 분야에서는 각 부정행위가 얼마나 심각하다고 보시는지 그 해당되는 정도를 표시해주시기 바랍니다.1) 없는 결과 만들어내기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30 |
응답자 성별
선문3. 선생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48 |
과학자로서 자신에 대한 동료들의 평가
3. 선생님 분야의 동료들은 선생님을 과학자로서 평가할 때 10점 만점에 몇 점을 줄 것이라 생각되십니까?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110 |
2004년 이후 지원 받은 연구비 규모
16. 다음은 선생님께서 연구책임자로 수행하고 있는 과제에 지원되는 연구비에 대한 질문입니다. 선생님께서 정부, 기업, 대학 등으로부터 2004년 1월 이후부터 새로 지원 받으신 연구비 규모는 얼마입니까? 천만원 단위로 입력해 주십시오.: 2004년 1월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
|
q095 |
성차별 경험 여부1: 지도교수로부터 성별을 이유로 원하지 않는 진로를 권유 받은 경험
11. 다음은 성차에 관한 질문입니다. 다음의 질문 중 선생님의 경험과 일치하면 ‘예’를 일치하지 않으면 ‘아니오’를 선택해주십시오. 1) 나는 지도교수로부터 성별을 이유로 원하지 않는 진로를 권유받은 적이 있다.
한국 과학자사회에 관한 조사, 2007 : 과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