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Survey data Member Access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013

https://doi.org/10.22687/KOSSDA-A1-2013-0099-V1.0

Go to List

Principal Investigator(s)

Min, Junyeong /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Abstract

「장애인고용패널조사」는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공동으로 장애인의 근로생애 추적을 위한 종단자료를 수집하고자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연차적 조사이다. 이 조사는 전국의 등록장애인으로 구성된 패널을 대상으로 매년 동일 반복 문항을 포함하여 실시되고 있다. 이 자료는 2013년 조사에서 수집된 것으로 그 설문지는 개인 및 가구, 장애상태, 경제활동, 직업능력, 고용서비스 이용, 직업능력개발, 삶의 질, 여성 및 고령자 등에 관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설문문항은 아래와 같다.

1. 개인 및 가구에 관한 사항
성 및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근로소득, 사적이전소득, 가구구성, 가구원 특성, 가구소득, 가구지출, 자산, 주거형태 등

2. 장애상태에 관한 사항
장애유형, 장애등급, 장애발생시기, 장애원인, 장애진행상태, 장애발생 후 일자리 변동, 일상생활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등

3. 경제활동에 관한 사항
경제활동여부, 취업여부, 직업력, 취업자의 일자리 특성과 일에 대한 만족도, 미취업자의 취업경험과 실업사유 및 구직실태 등

4. 직업능력에 관한 사항
자격증 취득여부, 자격증 취득현황, 자격증의 취업 도움여부, 직무수행능력, 전공분야, 향후 진로계획 등

5. 고용서비스에 관한 사항
고용서비스 이용경험(서비스 종류, 이용 횟수 및 기간, 제공기관, 이용경로, 참여정도, 취업 도움정도, 이용 애로사항), 고용서비스 미이용 사유, 희망 고용서비스 등

6. 직업능력개발에 관한 사항
정규교육기관에서의 직업교육 경험, 직업훈련기관에서의 직업교육 경험, 아르바이트 경험, 직업교육 미참여 사유, 희망 직업교육 분야 등

7. 삶의 질에 관한 사항
건강상태, 질병유무, 운동 및 수면 시간, 도움제공자, 도움받는 시간 및 종류, 주 이동수단, 생활 불편사항, 주 일상활동, 주 여가활동, 생활만족도, 계층귀속감 등

8. 여성 및 고령자에 관한 사항
혼인 및 출산 경험, 출산 자녀수, 임신·출산·양육으로 인한 일자리 변동, 자녀양육 어려움, 가족의 가사분담비율, 가사시간, 가사의 일에 대한 부담, 은퇴사유, 은퇴 후 생활만족도, 노후준비 등

View all





Usage

현재 KOSSDA에서는「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2008년(A1-2008-0092), 2009년(A1-2009-0096), 2010년(A1-2010-0158), 2011년(A1-2011-0099), 2012년(A1-2012-0158), 2013년(A1-2013-0099) 자료와 2008-2013년 누적자료(A1-CUM-0018)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File Type File Name File Description File Format File Size Download
Related Documents-Questionnaire(Korean) kor_que_20130099.pdf 설문지 (한글) PDF 56.23 MB Download
Related Documents-Codebook(Korean) kor_codebook_20130099.xls 코드북 (한글) EXCEL 13.89 MB Download
Related Documents-Other kor_user_guide_20130099.pdf 유저가이드 (한글) PDF 1.26 MB Download
  • Sort by
  • Sort by
Go to List
Views
1,409
Related
Documents
1,590
Data Downloads
11

Measured since the release date of the current version data.
If the data were released before May 11, 2017, it was measured since May 11,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