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면접/구술 제한공개

충남지역 마을연구 인터뷰 조사, 2005 : 부여 장정마을

https://doi.org/10.22687/KOSSDA-B3-2005-0009-V1.0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김필동 /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초록

충남대학교 마을연구단은 충남지역 농어촌 마을의 역사와 변천과정을 보여주는 마을지 편찬을 목적으로 마을의 지리, 역사, 경제 및 사회 상황, 일상생활과 민속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지역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과 자취를 간직하거나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민속을 보유한 13개 마을로 선정하였다. 조사지역은 평야마을인 부여군 장정마을, 연기군 솔올마을, 당진군 합덕마을, 금산군 불이마을, 논산시 병사마을, 예산군 동서리와 상중리, 산간마을인 아산시 외암마을, 서산시 초록리, 계룡시 향한리, 공주시 한천리, 어촌마을인 태안군 개미목마을과 홍성군 독배마을, 섬마을인 보령시 원산도이다. 현지조사에서는 지역주민 대상의 인터뷰 자료, 관찰기록, 각종 문서와 사진 등이 수집되었다.
이 자료는 부여군 장정마을에 관한 인터뷰 자료이다. 인터뷰는 장정마을 거주 주민과 마을 출신자들, 그리고 장정마을 대표성씨인 진주강씨 문중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인터뷰 내용은 마을의 역사(진주강씨 입향내력, 주요 인물, 일제강점기 민족운동가와 종교지도자, 한국전쟁 당시 이념대립), 농업개발(개간과 ‘검신들’ 조성, 인공제방 건설과 수리시설 도입, 주요 농작물과 시설농업, 품앗이·두레·작목반 등 노동조직), 사회조직(창신계, 진흥회, 신흥회, 건설회, 강호동지회, 청년회, 진주강씨 문중조직인 대종계), 근대화와 일상생활(교통체계와 시장권의 변화, 의식주 변화, 민간요업), 생애사(한국전쟁 당시의 이념대립, 선거운동가로 활동했던 부녀회장, 비닐하우스로 성공한 여성 농업인, 조선족 결혼이민여성), 민속과 의례(진주강씨 종중의례, 대종교 천제, 민간신앙, 구비전승, 세시풍속, 혼례와 상례 및 제례) 등에 관한 것이다.

더 보기


주제분류

지역과 공동체


자료시리즈

충남지역 마을연구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기타 Interviewlist.pdf Interview List PDF 2.89 MB 다운로드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1,728
관련 파일
593
데이터
7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