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관찰기록 제한공개

중앙아시아 한인의 의식과 생활 영상기록, 1995

https://doi.org/10.22687/KOSSDA-B2-1995-0002-V1.1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박명규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초록

이 연구는 중앙아시아의 한인사회에 대한 종합적인 공동연구의 일환으로, 구소련 해체 이후 고려인의 민족정체성, 집단농촌경제의 구조, 일상생활, 가족구조 등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에 거주하는 한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개인과 가족 인터뷰, 그리고 현지관찰을 병행하였는데 이 자료는 그 중 현지인들의 일상생활과 거주환경 등을 기록하고 인터뷰를 녹화한 영상기록 자료이다.
이 영상은 정근식 교수가 촬영한 것으로 총 6건의 .wmv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내용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와 인근 콜호즈 그리고 카자흐스탄의 수도인 알마아타와 인근 사마르칸트 등의 경관, 각종 기관(협회, 교회, 노인정 등), 주요 역사적 방문지 그리고 주민들의 일상생활 모습 등 이다. 또한 현지조사 과정에서 방문한 개별 가정의 가옥구조와 실내공간, 생활모습 등과 가구구성원들에 대한 인터뷰도 포함되어 있다.

더 보기


주제분류

이주와 민족




자료이용조건 자료이용신청 바로가기

1. 이 자료는 [KOSSDA 이용자 준수사항] 이외 [자료이용 준수사항]에 동의하는 경우에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2. 동영상자료 6건 중 3건(ID: A, B, D)은 KOSSDA 승인 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 3건(ID: C, E, F)의 자료 이용은 질적자료 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kiyo3@snu.ac.kr, 02-880-2111)


자료 이용 준수사항

1. 자료 이용 신청서에 명시한 목적 이외의 목적으로 동 자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2. 동 자료를 다른 기관 및 타인에게 양도하지 않는다.
3. 동 자료의 사용이 종료되면 자료를 즉시 폐기하고 폐기 사실을 KOSSDA에 보고해야 한다.
4. 동 자료를 인용할 경우 기탁자의 요청에 따라 익명처리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인명, 기관명, 학교명, 회사명, 지역명 등을 무기명 혹은 가명으로 처리한다.
5. 동 자료 이용 과정에서 습득한 어떠한 사적 정보도 누설하지 않는다.
6. 동 자료를 사용한 연구 결과물을 발표할 경우 그 출처를 KOSSDA 자료인용표준서식에 따라 인용해야 한다.
7. 동 자료를 사용한 연구 결과물을 발표할 경우 1개월 이내에 결과물을 KOSSDA에 보고해야 한다.
8. KOSSDA 자료이용약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자료이용안내

이 연구의 산출자료는 동영상자료 이외에 음성자료 46건에 대한 요약문 2건(B3-1995-0001)을 포함합니다. 동영상자료의 인터뷰 부분은 요약문1과 요약문2의 해당 ID 내용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파일리스트(국문) video_filelist_B2-1995-0001.pdf filelist PDF 1.74 MB 다운로드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1,174
관련 파일
753
데이터
3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