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SSDA Loading
조사자료 회원공개

부산, 울산, 경남지역 저소득층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2005 : 2차

https://doi.org/10.22687/KOSSDA-A1-2005-0015-V1.0

목록으로

연구책임자

박경숙 /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초록

「지역사회의 빈곤형성과 재생산에 대한 연구」는 1997년 경제위기 이후 심화되고 있는 빈곤의 특성과 원인을 구명하고 현실성 있는 빈곤대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매년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 조사연구는 빈곤의 경제적 차원뿐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 주목하여 지역의 빈곤 및 불평등에 관한 패널조사와 취약계층의 생활과 기본욕구에 관한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배제 경험의 심각성과 이러한 차별이 빈곤문화 형성과 인적 능력 결핍으로 귀결되는 과정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그 설문지는 빈곤가구의 건강상태, 가족현황, 교육환경, 경제상황, 고용상태, 지역복지현황, 사회의식 그리고 사회적 지원 등의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빈곤을 재생산하는 행위와 심리특성은 무엇인지, 그러한 행위와 심리특성은 열악한 생활환경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 빈곤상황에서 왜 가족이 불안해지는지, 빈곤층이 빈번하게 들어가고 나오는 노동시장은 어떤 특성을 지니는지, 복지제도에의 접근성의 제약이나 사회적 관계로부터의 고립처럼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겪는 박탈경험이 서로 어떻게 관계가 있는지 등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 보기


주제분류

빈곤과 복지




자료이용안내

「부산, 울산, 경남지역 저소득층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의 양적자료는 1차(A1-2004-0019), 2차(A1-2005-0015), 3차(A1-2006-0002) 패널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질적자료는 1차(B3-2004-0001)와 2차(B3-2005-0001) 심층면접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유형 파일명 파일내용 파일형식 파일크기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한글) kor_que_20050015.pdf 설문지 (한글) PDF 565.15 kB 다운로드
관련파일-코드북(한글) kor_codebook_20050015.pdf 코드북 (한글) PDF 949.48 kB 다운로드
관련파일-설문지(영문) eng_que_20050015.pdf Questionnaire (English) PDF 207.77 kB 다운로드
관련파일-코드북(영문) eng_codebook_20050015.pdf Codebook (English) PDF 1.14 MB 다운로드
배경변수
응답자 본인
p2v195
성별
p2v196
연령
가구원 관계
가구원 성별
가구원 연령
가구원 학력
가구원 혼인상태
가구원 활동/직업
가구원 장애여부
가구원이동과 패널관리
이탈 가구원
새로 온 가구원
응답거부
가족
가족범위
가사노동
응답자
배우자
자녀
(조)부모
기타 가구원
혼인/출산
육아조언/상담
취학 전 (손)자녀
양육비용
양육태도
18세 이상 자녀
부모 관계
가족가치
교육
교육태도
(손)자녀 성적
(손)자녀 학업중단이유
(손)자녀 일탈
(손)자녀 희망학력
보충교육
(손)자녀와의 관계
수입과 지출
소득
도움/지원
물품
현금
정부지원
소득 변화/전망
지출
경제상황
부채
신용카드
노동
지난1년간 취업상태
취업자
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근로여건
비취업자
자활사업
지역복지
수급자
비수급자
복지서비스
사회의식
성공요인
가난에 대한 태도
사회적지원
지역사회
거주환경
지역시설
교통수단
사건/사고
이웃관계
모임참여
연결망
매체이용
지원정도
보건/의료
정신건강
신체건강
자기통제력
지난1년 경험
일상생활
발병 경험
병명
이용 의료기관
응답자
배우자
자녀
부모
기타가구원
의료비
치료만족도
수술/입원
병원/약국 방문
응답자
배우자
자녀
부모
기타가구원
방문이유
방문횟수
처방일수
경비
지원 보험
본인부담금
교통비
기타경비
부담정도
이용만족도
수발
수발 대상 가구원
가구원 수발내용
간병시설 서비스
비용
  • 정렬 기준
  • 정렬
목록으로
조회 수
1,132
관련 파일
1,574
데이터
6

현재 자료 버전 공개일 이후 집계치.
단, 2017년 5월 11일 이전 공개 자료의 경우 2017년 5월 11일 이후 집계치.